유튜브 보다보니, 계속 실천하라고 함!!
용기내서 연금저축 투자 시작
12월 산타랠리, 1월 효과 등..
단기적으로 뭔가 오르겠지???
시작하면서 조금씩 오르길래..,
비중배팅 시작..
여기서부터가 실수!!!~
왜냐하면 1달에 1번씩 50만원이나 100만원씩 적립식투자를 해야 되는데..
ISA계좌에서 목돈으로 연금저축을 시작해야 되서 귀찮은 일 빨리 해치우려고 포트비중을 정해서 투자 ㄷㄷㄷ
-->> 깨달은 점은 큰 힘(목돈)에는 큰 책임이 따른다!! - 벤파커(&메이숙모)
투자는 시작이 중요한데, 매수부터 망했음 ㅠ.ㅠ
투자를 하고나서 뭔가 실수? 했다는 사실을 알고나서 수정하려고 했는데...
소액투자인 경우, 실천이 잘 됨!!!
1. 비중이 크다면, 조금 손절하고 비중 줄이기.
2. 종목이 너무 많으면, 전부 손절하고 종목수 줄이기.
3. 문제는 비중이 너무 크면 손절할때 고민이 많이 됨!! ㄷㄷㄷ
만약에 조금씩 소액투자했으면, 싸게 살 기회?라서 더 좋아할수도 있겠으나..
손절에 따른 손실금액이 너무 커서, 다시는 쳐다보기도 싫음 ㅠ.
후유증으로 잠이 안오거나 불안하고, 새벽에 잠 잘 깸!! ㅎㄷㄷㄷㄷ
다만 손절하고 나면 마음이 편함. 그리고 감??이라는 것이 있는데...
왠지 불안하다면, 일단 손절하는 것이 제일 잘 한 대응!!!!!~
바빠서 별 신경 못쓰고 있었는데.. 어렴풋이 FOMC 회의 있다고 들음.
단기투자였으면 이벤트라서 미리 챙겨야 하는데.., 아침에 되어서야 갑자기 생각나서
지수차트 봄.. 헠!!!!!!!!!!~
이래서, 주식투자는 꾸준히 잘 해야 되는 거구나!!~
밤에 편안하게 잘 자려면, 미리 주식투자에 신경을 좀 썼으면 좋았을 것을.. ㅉㅉㅉ
무지성투자는 소액으로만 해야됨.. .ㅠ.ㅠ
근데, 초장기투자인데.. 손절하다보니 손실만 계속 늘어감!!! ㅠ.ㅠ
결국 원금을 잃지마라!! 라는 원칙을 어긴 것이 되고, 빨리 복구하고자 하는 조바심이 생김!! ㅠ.ㅠ
이럴때 대응방법은 그냥 존버하거나, 현금으로 물타기, 아니면 파킹ETF 이자소득으로 원금채우기 ㅋㅋㅋ.
결국 복리로 이자쌓아 올리는 것이 아니라, 복리로 손실을 쌓고 있음 ㅠ.ㅠ
< 투자하면서 드는 생각>
1. 투자하지 말까?
- 공모주나 파킹통장으로 마음편하게 이자소득 얻을때는 기분 좋은데..
계속 손실보니 주식투자 포기하고 싶음 ㅠ.ㅠ
->>> 다만 실수를 통해서 배우는 것이 있다고 함!!!
근데, 수업료가 너무 쎄네!!!~
"으아아아악!!!~~"
실수를 통해 배운 것은 많음!!
꼭 얻어터져야 배우는 것이 문제네!!ㄷㄷㄷ
2. 전략이 필요하다!!~
- 초장기투자로 무지성 매수하면 좋다고..???
물론 아직 시작일뿐이라서.., 좋은 점은 모르겠다!!! ㅠ.ㅠ
다만, 왜 무지성 투자를 시작했을까?? 생각해보면...
바쁘고 투자할 시간은 없고...
차라리 그냥 노동소득에 올인하고, 귀찮은 시간낭비 없이
월적립 자동 매수가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했기때문에 실천하게 되었다!!~
하지만 문제점은 오를때는 같이 상승장에 동참 못해서 FOMO증후군이 왔는데...
폭락하고 보니,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그냥 오를때까지 2~3년정도 기다려야 되는 것이 문제다!! ㄷㄷㄷ
무지성 매수는 복리효과?? 를 시간에 녹여내는? 일(응? 연금술인가??)인데..
느긋하게 투자하는 것은, 소액투자로 꾸준히 매수를 해야 되는 일이라서..
그냥 무덤덤하게 기다리면 되는 일이지만...
손실에 대한 대응은 자금관리?로 변동성에 휘둘리지 않도록...
여윳돈만 투자하면서 기나~긴 시간을 기다리긴 해야겠다!!~
(윺튜브 보니, 고수투자자들은 급락나오면 더 좋아한다고 하더라!!~
경험이 없는 사람들은 손절하지만.., 경험있는 투자자들은 평생보유개념으로 사는 거라서 어제 하락나와서 싸게 매수했다고 좋아함!! ㅎㅎㅎ)
3. 어떻게 투자해야 될까??
- 손실은 뼈아프지만.., 실제로 실천하다보니 어느정도 조금씩 투자방법이 수정되는 것은 도움이 된다!~
다만 그동안 밥값, 커피값 아껴가면서 2024년동안 투자해서 얻은 이득이 12월에 투자한 며칠동안 전부 녹아 내렸다!~
잠자는 동안에 돈을 잃는다는 것을 깨달음!!! ㄷㄷㄷ - 아! 지금 글 쓰면서도 속으로 욕이 나옴
(손실5단계 : 분노->부정...... >>> 수용)
https://m.blog.naver.com/kka002486/223097795616
- 무지성투자는 좋지만...., 여윳돈으로 투자하자!~
1년~2년동안 투자할 돈 한방에 투자하니까, 시작부터 얼얼하다!!~
(특히 배당주 위주로 안전하게 투자한다고 했는데..., 주식은 위험하구나!! ㄷㄷㄷ)
- 안전자산은 현금이다!!!~~~, 현금비중은 많을 수록 좋다!! ㅠ.ㅠ
(달러에 투자하면서 주식으로 일석이조 얻겠다는 생각으로 투자했는데...
투자전략이 복잡해져서, 단순하게 투자해야 겠다!!~
- 차트를 맹신하지 말라고 했지만,,,, 잘 쓸 수 있으면 좋다!!~
(차트무시하고 무지성 매수하는 것이 정답이라고 생각했는데..., 손실은 참..ㅠ.ㅠ
특히 그동안 올 한해동안 투자는 안했지만, 시간날때 잠깐동안 차트보면서, 나름 타점?? 이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있었는데..., 이왕이면 저 타점에서 매수했으면 좋았을 걸!! 이라는 생각이 든다!!~)
4. 계속 투자 해야 되나???
- 계속 투자해야 되나??
투자를 계속 하긴 해야 되는데.., 큰 욕심 부리지 말고 소액으로 투자해야 겠다!!~
- 투자비중은 현금비율이 좀 많은 것이 좋다!!~
파킹ETF 수익률이 마음에 안들어서, 내 맘대로?? 비중배팅을 했는데..
연금저축은 꾸준히 투자하기 위한 전략이다!!~
(투자목표를 연 10%라고 생각하지 말고, 은행이자와 은행이자보다 조금 더?? 높은 수익률 정도로 만족하자!!~ 크흨!! ㅠ.ㅠ)
- 감정을 추스리고, 자신을 통제하자!!!!~
투자가 잘 안되는 이유는 내 감정과 투자전략에 대한 적용?을 잘 못하는 것에 있다!!~
하락장이 와도 꾸준히 투자하고, 하락장이 오면 2~3년동안 손실을 봐도 존버하겠다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
리스크를 회피하려면, 단기투자전략이 필요하다!!~
(하락변동성은 있지만, 결국에는 상승하는 변동성에 노출되어 있어야 되서, 주식을 보유해야 한다!!~)
5. 앞으로의 투자 방향성
- 손실금액이 너무 커서 부담스럽다!!! ㄷㄷㄷㄷ
- 내 그릇만큼만 투자하자!!~
- 연말연시라 알바도 바쁘고, 피곤한데도 휴가도 안가고 열심히 노동하고 있다!!!~
그냥 노동수입 벌어서, 투자소득 올리면 더 시너지 나올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동안 번 돈 다 까먹고 깡통찰 것 같다!!! ㅎㄷㄷㄷㄷ
- 결국은 일단 물린 주식에는, 그냥 존버?? 할 수 밖에 없다!!~
- 퇴직연금은 너무 소액이라서 자금관리 하기 애매하고, 아마 내년초에 계좌 입금후 또 한방??에 매수해서 1년동안 쳐다보지 않을 것 같다!!! ㅠ.ㅠ
- 연금저축은 일단 내년초에 전액 입금해서 파킹ETF매수하고, 조금씩 매도후에 지수ETF 적립식 투자하자!!~
- 포트폴리오 투자는 전략이 필요하다!!~
포트폴리오 투자도 적립식으로 투자해야 되는데.., 아무래도 거치식으로 투자하는 방법도 공부하고 경험을 쌓을 필요가 있다!!~
6. 후기
- 연금투자인데, 열심히 차트보고, 손절하고, 리밸런싱을 했다!!! ㅋㅋㅋㅋ
- 그냥 맘편하게 포트조정해서, 그냥 들고 있으려고 했더니 변동성이 장난 아니다!!~
(변동성이 심한 이유는 한방에 너무 많이 매수한 것이 문제다!!~ ㅠ,ㅠ)
- 매수와 매도에 대한 관점이 필요하다!!~
(돌파나오면 매수하고, 손실이 원금을 위협하면, 본절손절?? 하려고 애쓰고 있는데...
현생 열심히 살려고 시작한 투자인데, 참 어질어질 하다!!! @.@??)
- 대응을 하려고 하지말고, 그냥 조금씩 시간내서 투자하는 데 집중하자!!!
(그냥 나한테 주는 용돈금액만큼만 입금하자!!~
한달에 한번씩 살 게임소프트웨어, 그리고 프라모델?? 등 좋은 취미가 많다!!~??
그냥 그정도의 취미생활할 정도의 여유자금만 투자하자!!~)
- 나름 소액투자했는데, 계속 연속적으로 손실 얻어맞고, 손실금액 커지니 출근하고 멍때리고 시간만 보내고 있다!!! ㅉㅉㅉ
진짜 손절 안하고 버틸 금액만 투자하는 것이 관건이다!!~
- 쉽게 투자하자!!!~~~
나름 분산투자한다고, 유망한 종목들 아무리 나눠봤자 무용지물이다!!~
안전자산과, 상관관계 없는 종목군에 투자할 필요성이 느껴진다!!!
(투자한 것중에 오른 것은 없고, 다 떨어지네!! ㄷㄷㄷㄷ)
- 마지막으로 좀 더 집중투자하자!!!!~
투자하겠다고 이것저것 참 많이 도 배웠는데, 하나도 써먹질 못했다!~
차트볼 시간 없다고, 그냥 무지성 매수했는데.., 기왕이면 차트로 타점?보면서 좋은 자리 보고 들어갔으면...??
하는 아쉬움도 있다!!~
- 앞으로는 하방경직성(안전마진, 눌림목) 노리면서, 크게 오를 주식군들을 살펴보면서 투자하자!!~
: 내가 궁극적으로 투자하려고 하는 방법인데, 바빠서 포기하고 있다가 아무것도 안하고 FOMO증후군 걸리는 것이 싫어서 무지성 매수를 했는데..ㅠ.ㅠ
적은 돈은 계속 무지성으로 지수ETF에 투자하려고 하면서, 집중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도 공부해야 겟다!~
- 느긋하게 기다리면서 투자하라고 하는데, 잘 살펴보고 투자하자!!
시세가 좀 높다?라는 생각이 드는데도 무지성 투자하지말고, 전략 짜서 대응하자!~
그냥 2~3년 하락하고 폭락할 위험이 있는데, 굳이 투자하고 싶다면 열심히 모니터링 하면서 저점찾고, 피라미딩으로 조금씩 적립식 불타기 하고 싶다!!~
**** 하락에 대한 대응책으로 손실율이 아니라, 손실금액을 봐야 한다!!~
내가 손절했을때 손실율은 거의 스캘핑이나 단타 수준이다!!!~
다만, 손실금액이 내가 감당할 크기가 아니다!!! ㄷㄷㄷㄷㄷ
욕심이 문제인데..., 차트 안보고 매수한 거라서 앞으로 일어날 일에 대한 대응책이 전혀 없다는 것이 문제다!!~
지지선이 확실히 보이기는 하는데..??
내 매수타점과 거리가 너무 멀고, 하락위험이 있어도 투자금액이 너무 커서 마인드적으로 기다릴 여유가 없다!!!
오를 것!! 이라는 확신이 없는데도, 그냥 기대감만으로 매수한 것이 문제다!!~
떨어질수도 있다는 사실이 눈에 보이지 않고, 욕심에 눈이 멀어서 오르는 종목에 피라미딩으로 불타기 하는데... ㄷㄷㄷ
상승기대보다는 하락위험, 특히 폭락할때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매매계획을 세우자!~
(창원개미님 처럼 폭락할때 점차 비중늘리는 비중배팅해야 겠다! - 코스트에버리징(물타기)
최악의 순간에도 손절을 염두해 두고 있다면, 얼마를 손절해야 되는 것인지 미리 손절을 했을때 어떤 결과와 감정이 드는 지 생각해보지 않고 투자하는 것은 하지 않는다!! 라는 원칙이 필요하다!!~
솔직히 대부분 주식투자 안하고, 예금만 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연금이든 투자든 거의 은행예금금리와 비슷한 수익률을 보인다!!~
투자가 두렵기때문이다!!!~ ㄷㄷㄷㄷ
그러나, 투자를 해야 되는 이유는 가만히 있어도 환율변동성에 휘둘리고 실제로는 투자를 안해도 자산이 쪼그라들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중요한 것은,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투자로 상방변동성?을 만들어서 자산을 늘리는 방법 밖에 없다!~
그동안 저축만 했더니, 벼락거지가 되었다!!
(근데 투자했더니 , 더 빨리 거지가 되는 느낌!!?? ㄷㄷㄷ)
주식은 실적이 중요한데, 종목을 찾아서 공부하고 챙겨 볼 시간도 없고...
자산가격이 하락하면 싸게 살 기회인데..?? , 희한하게 사놓고도 얼른 팔아버린다!!!
(확신이 없어서 그런것 같다!~
우상향하는 자산이 싸게 거래될때 매수해야 되는데.., 기계적으로 오를때 사서 내릴때 파는 것을 반복하니 손절만 늘어나고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야금야금 계좌손실금액이 커진다!!! ㄷㄷㄷ)
가치투자, 장기투자할때 회사의 실적을 보고, 동업자로서 동행 하라고 하는데..., 어렵구나!!!!
(미국의 장기성장할 것은 알지만, 너무 비싸게 산것 같다!!! 반성하자!!!! ㅉㅉㅉ
적립식 매수했으면, 하락할때도 사고 상승할때도 샀을텐데 ..., 돌파할때 몰빵하는 버릇때문에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네!!! ㅠ.ㅠ)
-
-
'주식투자공부 > 주식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잡담] 올해 휴일에는 뭘 해야 하나? (1) | 2025.01.23 |
---|---|
[주식잡담] 자산포트폴리오 비중은 어떻게 해야 되나?? (0) | 2025.01.10 |
[주식잡담] 방향을 잘못 잡은 듯... (1) | 2024.12.13 |
[주식잡담] 장기투자에 필요한 것은 인내심과 끈기 (2) | 2024.12.13 |
[주식잡담] 증권사 신규계좌 개설시 이체한도 제한 해제 방법 알아보기 (1) | 2024.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