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윙 매매 전략(20가지 사항)
1. 금요일 오전에 산주식은 오전에 팔고 후장 막판에 재매수한다.
2. 급등주식 거래량이 첫 거래때 거래량 보다 2배이상 터지면 무조건 매도
3. 급등주식 조정시 조정 끝은 앞전에 만들어진 장대양봉의 중심에서 마무리 된다.
4. 바닥권에서 맴돌다 갑자기 상간 주식은 다시 상갈 확률이 높다.
5. 전날 점상으로 날아간 종목은 다음날 보합이나 -권에서 시작하면 매도가 원칙이다.
6. 5일선이나 20일선을 기준으로 완만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으면 투매시 들어간다.
7. 대량거래량이 터진후 다음날 전일 거래량의 1/2로 줄면 한동안 횡보하거나 추가급락이 나온다.
8. 두개의 장대음봉 등장은 폭락 하는 경우가 많다.
9. 급등주가 하락중 재차 급반등할 때 최소 전고점의 거래량의 70내지 80프로의 거래량이 서줘야 매수가 가능하다.
10. 전고점 부근에 형성된 거래량의 70-80프로가 터지지 않은채 상한가를 가는 종목은 앞전의 고점에서 조정이 오는수가 많다.
11. 대장주가 연상가면 테마주를 연구한다.
12. 전날 상간종목이 다음날 동시호가시 하락할 때 보합 근처에서 팔 기회를 꼭준다.-세력들의 물량 정리를 위한 반등
13. 강력한 상한가는 많은 거래량이 터져야 한다.
14. 조주과정을 거치다가 장대양봉과 거래량이 터지면 주시한다. 다시 하락하며 개미를 털어낸 뒤 급반등 하는 경우가 많다.
15. 급등주가 급락하면서 급락을 멈추는 시점은 앞전 만들어진 양봉의 중심값이거나 띠모양의 조주 가격대이다.
만일 이 자리가 붕괴되면 급락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16. 7%이상 갭상승하여 상한가 갔던 것이 다시 7%로 되돌아오면 강력 매수구간이고 그 자리가 깨지면 보통 전일 종가까지
밀리는 속성이 있다. 종가까지 밀리면 반등을 이용해 매도한다.
17. 상한가 종목은 거의 대부분 보합이나 그이상 팔 기회를 준다.
18. 거래량을 세우지 않고 급등하면 주로 앞전 형성된 고점 띠모양에서 꺽인다.
19. 급등 주식이 전고점 부근이나 신고가 부근에서 꼬리를 달고 밀리면 무조건 매도한다.
20. 갭상승하는 주식이 전일 종가를 깨며 내려 가면 무조건 매도한다.
21. 상한가 간 주식이 시가를 깨고 내려가면 이 또한 역시 매도로 대응한다.
'주식매매 TIP > 스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윙(장기) 종목선정팁 (2) | 2019.09.19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