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기본적인 방법으로는 장대양봉으로 전고점 돌파후 전고점이 지지선 역활을 해주는지?? 확인하고 매수해야 된다!~

전고점이 차트이론처럼 완벽하게 지지해주지는 않아도 지지선 기준으로 갭하락이나 음봉으로 돌파하는 모양이 아닌 차트아래꼬리 달면서 지지선 기준으로 매수세가 들어오는지 확인하고, 큰 손실이 아니라면 조금 기다려 볼 필요가 있다!~

 최악의 경우에는 불트랩에 걸려서 전고점 돌파하자마자, 하락하는 모양이 나올수가 있다!~

 이런 경우에는 반드시 손절해야 된다!!~

 생각보다 큰 하락이 나올수도 있으니 처음에는 적은 물량을 배팅하던지, 눌림목을 기다리는 편이 좋다!

 다만 그냥 상승하고 날아가버리면 투자기회를 날리게 된다!~

  되도록이면 종목선택에 신중을 기해야 된다!~

  주봉상 장기 차트의 이평선이 상승중이면서 눌림목이면 좋을 것 같다!~

  일봉상 거래량도 확실하게 우위로 돌아서면서, 수급상 매집흔적이 있으면 좋아 보인다!!~

   그동안 매집없이 수급상 계속 팔던 세력?(외국인이나 기관)이 갑자기 추격매수 하듯이 갭상승 만들면 단타로 치고 빠지거나 그냥 속임수 일 수 있다!!~

  자신의 투자종목이 우량주라도 앞으로 이익전망이나 성장성등이 좋은 종목선택해서 이런 패턴은 피해 나가는 것이 좋다!~

  

 

 

 

 

 

실전투자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기준선인것 같다!!~

변동성이 크지 않은 종목들은 급하게 익절할 필요는 없다!~

그렇지만 대다수의 종목들은 변동성 커서 급락등에 꼭 반드시 대처해야 된다!~

그런데 내가 팔고나면 잘 오른다!!~ 

 투자하다보면 이런 경험이 한번씩은 꼭 있을 것이다!!~

 

추세매매가 힘든 이유가 변동성이 심할때 매도 타이밍 잡기가 어렵다!!!~

 분봉상에 기준선을 그려서 추세가 꺽이는 지점까지는 보유를 해야 된다!!~

 추세가 꺽이는 시점에서는 투자심리가 꺾인다는 생각을 하고, 매도해야 되지만 변동성이 크면 속임수?에 자주 당한다!~

특히 내가 설정한 기준선이 매수 매도 자리가 아닌 변동성이 큰 봉구간이 되면 정신적으로 스트레스 받고, 그냥 빨리 팔고 나가고 싶다!~

 하지만 아직 상승할 거라는 믿음 때문에  손절할 수 없다면, 자신이 설정한 손절선까지는 보유를 하는 편이 좋다!!~

  그렇지만 매매기준선을 벗어나는 큰 음봉이 나온다면 그냥 빨리 팔던가, 아니면 다시 윗꼬리 달면서 반등후 하락하는 차트모양이라면 손절선까지 기다리지 말고 팔아버려야 된다.

 

 

 기준선은 특별히 어떤 선을 말하지는 않는다!!~

 자신이 박스권매매를 하면, 전저점 부근에서 매수하고 전고점부근에서 매도하면 된다!!~(지지선 저항선)

 아니면 봉차트에서 렌코차트나 다비스의 박스이론같은 가격박스를 만들어 기준선으로 쓸수 있다!~

 또는 라운드피겨 처럼 5000원 10000원을 기준선으로 쓸 수 도 있다!!~

 그밖에 피보나치, 2등분, 3등분, 4등분. 5등분 자기 마음대로 써도 되고....

 추세선을 기준으로  할 수 도 있고...

  고가 저가 기준으로 쓸 수 도 있다!!

 봉의 중심선이 기준이 되기도 한다!!~

 

 그 기준은 자신이 생각하는 가격의 변곡점이나 박스권이라고 보면 된다!~

 추세선도 같이 그려보면 비슷한 위치에 있는 경우도 있다!!~

 파동의 원리를 이용해서 가격의 움직임을 예측범위 안에서 대응할 수 있다!~

차트는 과거의 가격변동과 현재의 가격의 위치파악하는 것이 전부지만, 어느정도 다음 패턴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매매범위 안에서 정신없어 보이는 차트의 움직임을 어느정도 대응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말도 안되는 말을 막하는 것 같지만, 실제로 내가 쓴다!~

 그리고 쓰다보니 정말 좋은 것 같아서 나중에 내가 기억력이 가물가물해지면 다시 보려고 적어둔다!!~

 처음에 아무생각없이 매매하다가 내가 공부열심히 해놓고 안쓴다는 기억이 났다!!~

 그래서 이론과 실전 적용해보니 실제로 수익이 잘 난다!!~

 

  

   이 기준은 호가창과도 연관이 있다!!~

  호가창 계속 보면 눈아프니 기준선 근처에 왔을때만 주식 알람기능이용해서 그 때만 잠깐 보면 된다!!~

 이른바 가야할 자리와 가면안되는 자리의 구분선이다!!~

 선 그어놓고 열심히 봉차트의 움직임 잘 보면 된다!!~

 

단순하게 말하자면 자신의 기준선을 훌쩍 넘어버리는 봉차트는 매수 매도결정이 쉽다!!~

하지만 기준선 부근에서 지지가 올것이라고 예측하고 대응하는 매수기법이나, 기준선을 돌파예측하고 매수하는 기법이나 일단 기준선은 단순 저항선 지지선 보다 복잡하다!!~

 가장 곤란한 경우는 내가 설정한 기준선에서 횡보할때가 대응하기 어렵다!~

 단타매매의 기준은 자신이 보는 관점에서 기준선을 중심으로 봉차트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대응해야 된다!!~

 

주식마블님 유튜브가 특히 라인을 많이 쓴다!!~

왜 선을 긋는지 잘 모르고 어떻게 쓰는지도 모른다!!~

그런데 선을 따라서 계속 긋다보면 뭔가 비슷하게 그릴수 있을 것만 같다!~

스킬부분에서 뭔가 중요한게 빠진것 같은 부분은 어쩔수 없지만...

내가 주식실전투자를 안하고 열심히 공부만 했던 이유가 기준선긋기와 호가창 보는법을 몰라서라고 해도 될 정도로 어렵다!~

 여러번 반복하면서 공부하고, 실제로 선을 그리면서 매매하면 확실히 도움이 된다!~

 박스와 파동의 원리, 피보나치등을 공부하다 보면 비슷하게 이해는 할 수 있는 것 같다!!~

 봉차트의 움직임을 기준으로도 기준선이 그려지기도 하고 좀 복잡하다!!~

 주식마블님 영상을 전부 다 보고, 여러번 반복해서 보면 그나마 뭔가 보이는것 같기도..??

  선하나 긋는 것은 참 쉽지만, 주식공부하기 참 어렵기는 하다!!~

 단순하게 지지선, 저항선이 아니라 내가 매매하는 기준이 되는 매수선과 손절선 그리고 목표가까지

 거기다가 자동손절 안당하고 트레일링 스톱이 되어 줄 선의 역할까지 해줘야 되는 선들이다!!~

  길게는 주봉이나 일봉, 분봉에서 매매알고리즘이 약한 포지션을 뺐는 위치까지 세세하게 설정하고 시간이 지난후에 다시 매매기준선을 또 바꿔야 한다!~

 

   사실 알고보면, 가장 기본적인 고전적 기술적분석의 책에서는 선을 자주 긋는다!~

(예를 들면 금융시장의 기술적 분석, 잭슈웨거 기술적분석 모르고 절대 투자하지마라, 주식투자 백전불패, 스윙트레이딩 전략 등 내가 재밌게 봤던 책중에서 고전적인 차트기법을 쓰는 책들은 깃발패턴이나 추세선 손절선등등 선이 매매의 기준이 된다!!~)-

   추세선이나 저항선 지지선등등 그리고 그 선을 기준으로 매매신호를 잡는다!~

    단지 책에서만 보고, 실제로는 그 선을 긋지 않으면서 매매하다보니 중요성을 잊어버린것이라고 생각된다!!~

    주식가격은 잊어버리고 몇%로 상승한건지만 신경쓰다보면 그 주식의 현재가격이 얼마인지 잊어버린다!~

    

   

 

 

 

  일목균형표는 차트볼때 복잡해 보여서 사용안하지만, 일목균형표의 기준선만 따로 차트에 표시해서 볼린저밴드 등과 사용하는 방법등이 단테님단타 영상에 있는데..., 나는 그냥 단순하게 이동평균선만 사용하는 것이 편해서 이평선만 본다!~  20일이동평균선 돌파나 지지도 이평선을 기준으로 매매하는 방법이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