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는 주인을 따라 산책하는 개와 같다.

앙드레 코스톨라니 옹이 하신 말씀이다. ​개와 산책을 하다보면 주인 옆에 딱 붙어가는 개는 거의 없다. ...

blog.naver.com

 

 

 

 

 

앙드레 코스톨라니의 "산책하는 개 이론"으로 보는 현재의 모습

책에서 읽은 좋은 글 하나 소개합니다.​투자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서민 경제와 투자/자산 시장 간의 시차...

blog.naver.com

 

 

 

 

코스톨라니의 산책하는 개 이론

​"코로나發 공황 막아라"…美 Fed, 금융위기 때 뛰어넘는 '파격 조치'2008년 리먼사...

blog.naver.com

 

 

 

6월12일 금요일 미국장 급락에 대한 코멘트 중에 '산책하는 개와 주인'에 대한 내용이 나온다!~

 

 급락이유가 기대한 경제회복전망치에 비해 주가가 너무 높아서 '산책하는 개(주가) 와 주인(경제)의 차이 때문이라고 한다!~

 1차펜데믹 끝난적도 없는데 상승장이 와서 당황스러웠는데, 이제 다시 뉴스에서는 2차팬데믹의 우려에 의한 공포심리때문에 시장이 하락한다는 것도 이상하다!!~ (시세가 뉴스를 만든다!! - 코스톨라니)

 

기본상식으로는 주가는 실물경기보다 6개월 선행한다고 한다!~

주식투자경험이 많은 투자자들은 그냥 세력이 시장상승을 만들고, 상승이유와 하락이유를 갖다 붙힌다고 한다!~

 일단 주식시장 전망치나 경기선행지수 실업률등 이 주식시장의 상승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다만 상승한다고 해도 기대치가 너무 높아서 투자자들의 심리가 과열된 상태라면 주가는 하락할 이유가 된다고 한다!~

 

 차트의 개념도 이와 비슷하다!~

 과다하락한 종목은 하락하는 이평선으로 되돌림이 나오고, 상승하던 주식이 이평선 근처까지 되돌림이 나왔다가 다시 상승하기도 한다!~

 주가는 심리싸움이다 라는 코스톨라니의 이론은 경제사이클상 과열국면과 침체국면에서 언제 매수할지 알고, 언제 매도할지 알아야 된다고 투자자들에게 말하는 것 같다!~

 

 코스톨라니 책은 최근에 읽어봤지만, 주식강의 책이나 영상에서 언급된 부분이 많기 때문에 대부분은 알고 있을 것 같다!~ 경험이 부족해서인지 아직 깨닫지 못한 부분이 많지만 투자에 도움은 많이 된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우선주 이상급등 현상에 담긴 2가지 증시상황과 의미 - by 다음증시칼럼>

최근 우선주 이상 급등현상이 나타나면서 시장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 삼성중공업 우선주가 6월 들...

blog.naver.com

 

 

 

우선주급등현상이 나오는 경우, 주식투자의 주의신호라는 것을 시장경험이 많은 투자자들은 대부분 알고 있다!~

 

그러면 우선주 급등현상이 나올때는 어떻게 시장해석을 해야 될까??

 

 꼭 맞는다는 보장은 없지만, 시장하락의 신호로 해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겉으로 보면 시장상승기 지만, ADR이 하락하거나 대부분 종목은 하락하는 경우에도 시장은 상승하는 경우에는 더 이상 투자할 종목이 없기 때문에 유통물량이 적은 우선주위주로 투자종목을 매수해서 높은 수익률를 얻으려고 하는 매매심리?일수도 있고...

 아니면 더이상 상승할만한 주식종목을 찾지 못한 세력들의 스마트머니가 일시적으로 우선주를 매매대상으로 한 경우일 수도 있다!~

  우선주는 배당수익률이 본 주식보다 높아서 장기보유하는 분들도 많지만, 본 주식보다 많이 오르고 계속 오르면 시장하락기가 온것은 아닐까?? 하고 직감적으로 의심하고 주의해야 된다!~

 만약에 시장하락기가 아니라 상승장이 올 수도 있기 때문에 꼭 맞는다는 보장은 없다!~

 다만  대부분주식이 오르고 마지막으로 급등하는 우선주급등은 이상과열현상으로 해석하고 투자비중을 줄여서 주의해야 할 신호라고 예측후에 시장에 대응해야 된다!~

 주식시장에서 상식수준으로 알아두면 좋은 것 같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시장차트와 업종분석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이해가 잘 안갔었는데..., 참 쉽게 분석 잘 된 것 같다!~

요즘 유튜버 들 보면 직장인인데, 주식에 대한 지식은 전문가수준이라서 대단한 것 같다!~

 책으로 차트공부하면 이론적인 용어해석이 대분분이라서 실전투자에서의 차트해석은 어떻게 해야 되는 지 전혀 몰랐는데..., 대부분 저런 방법으로 지나간 차트를 기준으로 해석하는 것 같다!!~

  그래서 비슷한 방법으로 공부하고 있었는데, 지나간 차트로는 이제 고점이라서 잘 해석이 안되는 경우가 많다!!~

  만약에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으면, 저런식으로 2~3달정도의 차트로만 해석하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다!~

   순환매를 예측하고 아직 덜 오른 업종을 살것인지, 아니면 그냥 지금 많이 오르긴 했지만 주도업종을 매매해야 될 것인지 꾸준하게 시장에 관심을 갖고 지켜보는 것도 공부가 되는 것 같다!!~

   차트볼때 직감적으로 시장의 움직임과 업종, 그리고 종목을 선택해서 매매까지 이어져야 수익을 낼 수 있을텐데..

 어떤 전략을 쓰고, 어떻게 포트폴리오 구성해서 진입과 청산 자금관리까지 계획을 세우고 실천해야  진짜 '주식투자자' 라고 할 수 있다!

   아직 차트보는 법도 많이 부족하고, 실전연습도 많이 해야 겠다!!~

 

   일단 꾸준히 시장을 보는 것은 참 중요하다!~

   멍때리고 업종별 차트 한번도 안봤더니, 언제 저렇게 올랐나?? 싶다!!~

    몇달 사이에 하락장과 상승장이 휙 하고 지나갔다!!~

 

  p.s>  호가창 보는법을 배우고 싶어서 유튜브 보고 주식투자 공부 열심히 했는데...

   아직도 호가창 보는 법은 잘 모르겠다 ㅠ.ㅠ 

   (호가창 공부는 안하고 차트공부를 더 많이 한것 같다!!~)

 

   원래 계획대로 시장추세와 업종추세에 맞는 ETF에 분산투자 하는 방식으로 계속 했었어야 되는데..

   동학개미운동에 휩쓸려 나도 모르게 그냥 급등하는 종목 따라다니는 스캘핑만 한 것 같다!~

   심리적으로 쫓기는 매매를 하다보니, 부담없이 스윙이나 중장기 매매하는 방식을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실제 투자에서 배운점은 내가 가진 약점은 무엇이고, 해결책은 무엇인지 고민도 하게 되고, 공부도 많이 된 것 같다!!~

  장중에 데이트레이딩으로 매매하는 것은 굉장히 집중력을 요구하고,  피곤한것 같다!~

   아무생각없이 직감으로 매매하는  단타를 하다보면, 주식투자 공부할 시간이 별로 없다!~

    계획없이 주식투자하면 경험을 얻을 수는 있지만, 매매실력이 늘지는 않는다!~

    머리속에 있던 전략이 실제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 실제로도 수익률을 올릴수 있다는 경험치를 얻는데 만족해야 될 듯 싶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예전에 봤던 영상인데 지금은 어느 위치일까??

   아마 조심단계이긴한것 같은데...

   일단 시간이 지나봐야 정확히 알 수 있을것 같다!!~

   미래는 예측이 불가능하고, 아직 어떤 변수가 있을수도 있으니 일단 조심 단계로 보인다!~~

(인버스2X 차트나, VIX차트 보면 굳이 조심할 필요는 없을것 같긴하다!!~)

 단기투자관점에서는 이평선과 이격도가 크거나, 스톡캐스틱등 보조지표 과열권이면서 저항받는것같은 패턴모양이면 일단 관망후 눌림목 노리고 투자해야 좋을것 같다!~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경제가 안좋긴 하다!!~

 코로나가 사스나 메르스처럼 전염성이 점점 떨어져서 치료제없이 소멸되어간다면 확신단계가 될수도 있고...

 정책상 통제가 더 길어진다면 기업실적악화와 경제하락기로 더 큰 하락이 올 수도 있을것 같다!~

 다만 연준이 계속해서 돈을 푼다면, 여러 유튜브에서 본대로 연준의 금리상승등 의 정책만 펼치지 않는다면 시장의 대공황까지는 가지 않을 것이고 볼 수 도 있다!~

  외국인들이 아직 주식시장에 들어오지 않고, 채권시장에 머물러 있다면 좀 더 관망할 필요도 있다!!~

  테마주만 뜨는 장세라면 확실히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아직까지 신중할수 밖에 없다!!~

 

  시장차트도 아직은 역배열이고, 주도주는 삼성바이오로직스?? 가 될 것 같은데...

  무작정 따라서 사기도 부담스럽다!!~

  삼성전자였으면 모를까?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분식회계등 재무도 불안정하고. 가치투자하는 사람들은 안좋아할만한 종목이다!!~

 셀트리온은 그나마 뉴스에서 수출등 뭔가 보여준거라도 있는데,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아직까지 신뢰도가 많이 떨어진다!

 나중에 시장에서 선물옵션이나 공매도치기위한 현물보유를 해야 되는 상황에서 선택한 종목이라는 소문도 있고, 대규모 공매도를 위해 세력이 준비중이면서 매집하는 종목이라는 소문도 ㄷㄷㄷ

차트만 보면 그냥 매수해야 될 종목이지만, 시장주도주가 되기에는 소비관련주식이 아니라 테마성 미래성장가능성을 보고 매매해야 되는 종목인것 같다!!~

(근데 보여준것이 너무 없어서, 대형주이긴 하지만 그냥 다른 테마주랑 비슷한 느낌이다!~)

관련종목으로 지분구조상 '삼성물산'을 대신 매매하는 것도 괜찮을 듯 싶다!!~

(찾아보니 삼성생명은 삼성바이오와 지분구조상 지분이 별로 없다!!~

이런것 확실히 찾아보고 조사해 봐야 겠다!!~~

그냥 업종전체가 상승중인것 같은데 장기이동평균선 하락중이라 쉽게 접근하기 힘들다!!~)

그런데 삼성전자는 삼성바이오로직스 주가에 별 영향을 안받는거 보니 그냥 다 각각 따로 움직이는 종목이라서 주의해야겠다!~)

 아직은 경험이 부족하다보니 소액으로 내 판단이 맞는지만 시험해 보는 차원에서 매매해 봐야겠다!~

 바쁘고 차트볼시간 없어서 그냥 잃어도 괜찮을 정도만 투자해서 일봉종가기준으로 매매하는 연습도 필요한 것 같다!~

 

 

보험관련주가 바닥권움직임이 좋은데..., 금리상황이나 장기추세하락이라서 쉽게 들어가기 어렵다!!~

수급은 외국인이나 기관수급이 좋지만, 많은 상승을 바라지 않고 손절라인 지키면서 조금씩 분할매수해볼까??라는 생각도 들지만 추세추종전략과는 맞지 않고 가치투자 한다고 물릴까봐 걱정이다!~

그냥 직감으로 투자하기에는 심리적으로 불안하니, 자신의 투자철학이나 기법이 어느정도 완성되면 투자해 볼만한 가치는 있다!!~

 다만 실적시즌에는 기업실적 안나오면 주식 패대기 치는 경우도 많아서, 반등장이라도 종목선택 잘해야 될 것 같다!!~

 

 

p.s> 20년6월15일 추가 코멘트

 

 이 때 글을 작성할 당시 주식시장에 대한 뭔가 직감? 이 왔었던것 같다!~

 

 그런데 이 때 언급했던 종목들에 대해서 꾸준히 공부해서 매매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2달이 지나서 뼈저리게 후회할 줄이야! ㅠ.ㅠ

 

 다시 이 글을 읽어보니 아직 투자에 대한 확신같은 것이 없어서 공부만 하려고 했었나 보다!!~

 

 무엇보다 차트를 읽는 눈이 그냥 책내용만 여러번 읽어서 알고 있을뿐, 실전적용을 어떻게 해야 되는지 몰랐었다!`

 아직도 확신할수는 없지만.., 많이 배운 것 같다!~

 

  몇 번의 성공 끝에 그냥 직감만 믿고 아무생각없이 그냥 안올랐던 종목이 오를것이라는 게으른 생각과 손절계획도 없이 무책임한 매매로 결국에는 차트분석이나 자금관리없이 매매했다가 계좌의 큰 손실에 따른 공포와 손실회피심리에 때문에 상승방향을 예측하고도 결국 손절했다!~

 

 평소에 시장에 대한 관심과 관심종목에 대한 분석등 원칙없이 게으른 매매하면 망한다는 것을 깨닫게 된것 같다!~

(꾸준히 시장공부 열심히 하다가 갑자기 바빠져서 그냥 귀찮다고 돈 벌 욕심에 평소 매매보다 훨씬 큰 금액으로 배팅했다가 망했다!!~~)

 

  시장->업종->종목선택(top-down) , 그리고 전고점돌파이후에 과열권이 아닌지 확인하고 시장하락장으로 판단되면 추세추종전략을 쓰지말고 관망해야 된다!~ ( 시장예측은 상승장-횡보장-하락장으로 예측하고 계획을 세워서 대응해야 된다!~)

 

 관망후에 다시 주봉 월봉등으로 시야를 넓혀서 주도주의 지지와 저항을 살펴서 포트폴리오등 상승가능성이 높은 주식을 매매해야 된다!!~

 

 그리고 자만과 욕심, 게으름과 공포에 휘둘리지 말고 꾸준히 공부해야만 시장을 이길수 있다!~

 예측만 한다고 운에 기대어서 투자하면 안된다!~

 손실은 크지만, 다시 공부해야 겠다는 생각덕분에 몰랐던 부분을 많이 배웠다!~

 

내가 생각했던 부분이 맞을수도 있고, 틀릴수도 있다!~

 

투자아이디어를 차트라는 도구를 통해 어떻게 이용해서 대응전략을 수립하고, 위험상황에는 어떻게 탈출할 것인지 대비해야 된다!~

 

 손자병법과 심리학등을 통해 '이기고 시작하는 무패전략', 즉 '잃지않는 투자전략'이 필요하다!~

 

 전투(매매)에 져서 손실을 입더라도 심리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병력만 잃고, 결과적으로  '전쟁(계좌수익)에서 이길수 있는 전략(상승장에서 위험대비 보상비율이 높은 주식을 포트폴리오 분산을 통해 위험관리하면서 피라미딩이나 레버리지 매매하는 분할매수전략등)이 필요하다!~

 

투자는 참 부지런 해야 된다!!~

단기간에 수익률이 40%이 가능하다는 경험과 함께, 급락장에  계좌에서 -20%가 빠지면서 수익률이 20%로 확 줄어든 신기한 경험을 하게 된다!~

오전만해도 '그냥 보유해야지!' 하고 생각했는데 점심먹고 와서 오후장에만 수익률이 확줄어드는 것 보니 위험하다는 생각이 들면 재빨리 대응해야 되는 실전투자감각이 꼭 필요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하이먼 민스키로 보는 미 증시와 투자전략

2008년 금융위기를 떠오르게 하는, 아니 기간대비 단순 하락률로 보면 금융위기를 능가하는 폭락이 전 세계...

blog.naver.com

 

 

 

 지금이 어느구간인지 지나봐야 알겠지만, 시장사이클이나 심리사이클등을 알고 있어야 매매타이밍 잡기 쉬울것 같다!~

 일단 오르면 사고, 내릴때 팔면 되겠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말 바닥이라고 판단되야 자신의 투자에 전재산을 걸거나 레버리지를 이용한 용기(진검승부)가 가능할 것 같다!~

 차트투자자라면 기관투자자흐름을 수급으로 보고 따라서 샀다가 열광기에  적당히 이익보고 나오면 되겠지만, 가치투자자라면  현명한 투자자 시점에서 매수하고 장기투자해야 될 것 같다!!~

 청산기만 조심하면 될 것 같은데, 공매도 하는 사람들에게는 기회가 된다!~

 그냥 내 느낌상?? 으로는 청산기에서 정상화 되는 시점이거나, 아니면 하락후 정상회귀와 공포로 이어지는 구간일수도 있겠다! ㄷㄷㄷ

 실전투자하면서 애매한 부분이 과연 지금은 증시 상승이 하락후 바닥찍고 상승하는 흐름인지(v자반등), 아니면 기술적반등에서 잠깐 과열구간이라서 매도해야 될 구간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일단 지금은 시장이 어느정도 안정기에 접어들었다고 판단되면, 관심종목의 월봉, 주봉, 일봉이 상승흐름이라면 트레이딩 관점에서 봐야 할 것 같다!!~

다만 시장추세가 꺽인 상태라서 상승한다고 해도 전체적으로 순환매까지 이어지기는 힘들것 같다!~

하지만 유동성만큼은 가장 큰 시기라서 시장분위기상으로는  트레이딩하기는 좋은 시기 같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일반적으로 시장분석의 경우 참고해야 될 지표가 몇가지 있는데...

일단 지수차트, 매매동향, 환율, 선물분석, 야간선물 분석,  아시아증시, 그리고 전날 미국지수 등이다!~

 데이트레이딩의 경우 미국지수의 분위기가 아침에 영향을 미치기때문에 많이 참고하는 편이다!!~

  하지만 요즘은 미국지수보다 한국지수가 오히려 선반영되는 경우가 많다는 느낌이다!!~

  그래서 미국선물지수 시간이 우리나라 증시가 열리는 시간과 겹치기 때문에 '미국선물지수'도 참고로 하면 좋은 전략이 될 것 같다.

  특히 전저점 부근에 선을 그어서 상방으로 배팅하면, 위험대비 보상비율이 좋기때문에 트레이딩에 자주 써먹는다!!~

  그런데 종목차트중에 전저점을 뚫고 다시 강한 하락세로 가는 종목들이 많이 보인다!!

  하락장대음봉이 전저점 가서 무턱대고 반등노리는 트레이딩보다는 그냥 쉬거나 단기반등조짐에서 짧게 하는 편이 좋은 전략이다!!~

 

 

 

   대형주같은 경우 엔벨로프나 볼린저밴드 밖으로 나갔을때 분할매수(물타기?)로 접근하는 전략도 있다!!~

(하락차트보다는 횡보중인 차트가 밴드밖으로 잠깐 이탈했다가 되돌림 주는경우가 더 안정적이다!!~)

   일단 하락세가 강하니 관망하거나 바닥돌파후 눌림목 패턴까지 기다려 볼 수도 있다!~

   하락장에서는 우선주나 테마주가 주도주인 경우가 많아서  그냥 소액단타만 치다가 다음 강세장의 주도주가 될만한 종목을 찾아봐야겠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www.krx.co.kr/main/main.jsp - 한국거래소 홈페이지


https://www.clien.net/service/board/cm_stock/10957746 - 클리앙 질답에서 사용법 펌.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stock&page=1&divpage=26&no=129798


시황맨같은 방송 들을때 PER,PBR 데이터 알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인터넷으로 보는것이 가능하네요!~

 네이버증권인가? 집에가서 연구 좀 해봐야겠네요!


per.png


pbr.png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예전 자료이긴 하지만 기본적인 주식시장의 경기국면별 투자전략이 있어서 참고해볼만 하다!!~

책에서 처럼 공매도를 권하지는 않지만, 대세 하락장이라면 현금보유나 인버스에 투자하면 괜찮을것 같다!!~

옵션매매나 대주거래(공매도)등이 있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한 개미들은 경력오래된 전업투자자 밖에는 없을것 같다.

선물투자는 의외로 종목선택이나 업종선택에 신경을 덜 써서 괜찮을 수도 있겠지만 역시 일반 투자의 영역은 아니라서 인버스외에 대안이 없다면, 예전에는 금을 투자했겠지만 지금은 금이나 엔화는 안전자산이라고 하기에는 좀 어려우니 더 좋은 방법이 없는지 고민을 해봐야겠다!!~

170911_경기국면별 스타일 투자전략_최종 (1).pdf


'주식투자공부 > 시장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krx홈페이지 주가지수 per, pbr 확인하기.  (0) 2019.03.19
PER추이, PBR추이  (0) 2019.01.28
주식시장의 흐름  (0) 2018.05.08
ADR 지표로 장세파악하기  (0) 2018.04.10
주식시장 분석방법  (0) 2018.04.03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  2. 5. 8. 11월 중순까지 분기 실적 발표니 이를 어닝 시즌이라 하고 4, 7, 10월은 선행성으로 철저한 실적 장세 연출된다 따라서 코스닥은 항상 약하다 이에 따른 조정 하락 충분 할 때 5, 8, 11월 초 또는 전월 하순 말미 경 매수 하면 반등 하는 달이 될 때가 많다 특히 1 2월 실적 시즌은 특히 엄청 주의 대응 하고 1월중 정책 효과 등 기대감 먹고 1월 중 순경 매도 정리하고 2월 초 코스닥은 비중 없어야 된다 4월 상폐시즌 분위기 연결 된다

  그 밖에 대통령 임기에 따른 강세장(임기2년차), 약세장(임기말 레임덕 시기)등이 있지만 공식처럼 맞지는 않는다.

다만 실적시즌, 옵션만기, 세마녀의 날등은 충분히 알고, 종목선택에 유의 해야한다.

보통 1월효과등은 잘 알려져 있지만, 하락장에서는 별로 효과가 없다!!~

 보통 주식시장의 흐름을 알려면 '경기선행지수', '소비자심리지수'등 경기확장조짐이 있거나, 유가나 구리등 상품가격상승 , 달러환율하락등 외국인유입등이 기본적인 흐름을 알려주는 지표를 보면 된다.

 기본적으로 알아야 될 사항은 코스톨라니 '달갈모형', 우라가니구니오 '주식시장의 흐름을 읽는법'등은 가장 기초적인 고전이다!!!~

 어디서 들어본것이든, 본인의 경험이나 책에서 배운 것이든 주식시장의 흐름을 꼭 알아야 된다!!~

그밖에 여름이나 겨울 계절테마주, 선거철 정치테마주, 연말이나 분기별 배당주등 시기에 맞는 이슈들이 있다!!~

다만 이번에는 남북경협주때문에  정치테마주가 빛을 잘 못보는것 같은데..., 항상 지금 가장 중요한 이슈가 무엇인지 알고 있어야 된다!

 그래서 증권뉴스와 경제신문만  볼 것이 아니라, 지상파 종합뉴스나 일간지 헤드라인에 관심을 갖는 이유가 주식시장뿐만아니라 사회에서 가장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고 있는것이 무엇인지 찾아보면 시장에 대한 다른 관점, 통찰력이나 역발상 투자에도 도움이 된다!~



 


출처: http://everystocks.com/index.php?mid=board_VZas27&search_target=nick_name&search_keyword=%EA%B7%B8%EB%83%A5%EC%9D%B8&document_srl=2839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