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해외증시에 매우 영향을 많이 받는 우리시장에서 어떠한 경제지표가 중요한지 여부와 투자하시기전 알고 있으면 도움이 되는 경제지표, 그 경제지표를 통해 알수 있는 점을 정리하였습니다.
1.Federal Reserve
연방공개 시장위원회(FOMC)
①발표시기: 약6주 간격. FOMC이후 통화정책변경은 간단한 성명서로 발표함
②중요도: ★★★★★
③장점: 현재와 미래 금리방향 예측가능
베이지북(Beige Book)
①발표시기: 약 연8회, 대체로 FOMC 개최 2주전
②중요도: ★★★☆☆
③장점: 지역차원의 경제현황 내용에 대한 최근 정보까지 제공함
2.고용, 국민생산 및 소득
고용보고서(The Employmene Repoet)
①발표시기: 월간, 익월 첫번째 금요일
②중요도: ★★★★☆
③장점: 산업과 지역별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고용과 경제성장률은 동행, 실업률은 후행지수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Unemployment Insurance Claim)
①발표시기: 주간 발표
②중요도: ★★☆☆☆
③장점: 실업수당청구건수는 해고 추세의 대리 지표로 노동 시장의 변화를 조기에 알 수 있음
국민 총생산(GDP)
①발표시기: 분기지표 추정치는 해당분기 익월 말, 확청치는 다음 분기 마지막 달에 발표
②중요도: ★★★☆☆
③장점: 경제활동 전반을 나타내며 생산성 증가의 중요한 척도로 활용되고 있음
3.신규수주, 생산 및 제고
ISM제조업지수
①발표시기: 월간, 익월 첫 영업일
②중요도: ★★★★★
③장점: 제조업 활동의 모든 정보를 제공하며 선행지표로 경기순환의 전환점을 측정하는데 사용함
내구재수주(Durable Goods Orders)
①발표시기: 월간, 익월 3~4주차 발표
②중요도: ★★★☆☆
③장점: 산업생산에 대한 수요의 선행지표로서 가장 빨리 발표한다는 장점이 있음
산업생산(Industrial Production)
①발표시기: 월간, 익원 중순(15일 전후) 발표
②중요도: ★★★☆☆
③장점: 경제상황을 아주 정확히 알려주는 척도로 활용이 되며 가동률은 경기 불활의 유용한 척도로 쓰이고 있음
기업재고(Business Inventories)
①발표시기: 월간, 익월 6주후
②중요도: ★★☆☆☆
③장점: 개인 소비 유형의 변화를 보여주며 향 후 제조업 수주의 유용한 지표로 사용되고 있음
4.소비지출
소매판매(Retail Sales)
①발표시기: 월간, 익월 13일 전후 발표
②중요도: ★★★★★
③장점: 소비 지출의 패턴을 보여주는 가장 빠른 지표
소비자신뢰지수(Consumer Confidence)
①발표시기: 월간, 당월 마지막 화요일
②중요도: ★★★☆☆
③장점: 높은 시의성과 경기순환에 대한 선행지표로 미래에 대한 기대를 평가하는 정보를 제공
미시간대 소비자 서베이지수(Consumer Sentiment)
①발표시기: 격주간, 잠정치(당월 2주후 금요일), 확정치(당월 마지막주 금요일)
②중요도: ★★★☆☆
③장점: 높은 시의성과 소비자신뢰지수보다 빨리 발표함
'주식매매 TIP > 장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순환매란? (0) | 2019.09.18 |
---|---|
투자주의, 경고, 위험 의미 및 지정요건, 상장폐지 조건과 기준, 자본잠식의 의미와기준 (0) | 2019.09.17 |
환율이 주식시장에 미치는 영향 (0) | 2019.09.17 |
유상증자의 유형별 장단점 (0) | 2019.09.17 |
재무 재표를 통한 기업 선정 꿀TIP 5 (0) | 2019.09.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