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을 통한 판단방법
1. 이동평균선의 분석
◆ 5일, 20일, 60일, 120일, 240일, 480일만 인정
◆ 추세에 대한 것은 60일과 120일선으로 확인
◆ 단기추세 > 종가 > 20일선 위치하면 상승추세, 반대이면 하락추세
◆ 중기추세 > 일봉기준 60일 > 120일이면 상승추세, 반대이면 하락추세
◆ 장기추세 > 일봉기준 120일 > 240일이면 상승추세, 반대이면 하락추세
2. 5일 이동평균선
- 단기 분봉매매를 위한 기본조건
①5일 이동평균선 돌파시
②1분봉 60분선이 120분선 돌파후 매수, 이탈 후 매도
3. 20일 이동평균선
- 눌림목을 파악하기 위한도구, 단기 일봉매매를 위한 기본조건
눌림목 - 중기추세가 상승인 국면(60일>120일)에서 20일 이평선을 이탈했을
때. 중기추세가 하락인상태에서는 눌림목은 존재하지 않는다. 20일선은 중기추
세에 따라서 쓰임이 완전히 달라진다.
①종목의 추세파악, 상승 또는 하락을 구분
②중기 상승추세에서는 20일선 이탈시 매수, 중기 하락추세에서는 20일선 돌파
시 매도
4. 60일 이동평균선
- 중기투자의 1차 매수와 매도기준
①60일선 돌파시 1차 매수, 60일선 이탈시 1차 매도 (코스피 우량주 대상)
5. 120일 이동평균선
- 중기투자의 2차 매수와 매도 기준으로 60일선과 병행해서 사용
①120일선 돌파시 2차 매수, 120일선 이탈시 2차 매도
②종목/지수가 상승추세에 접어들면 120일선 돌파 후 지지가 확인된다.
6. 240일 이동평균선
- 장기 대세 상승과 하락을 검증하는 기준
①240일선 이탈 - 중기투자 중단, 단기투자로 대응
②240일선 돌파 - 단기투자 중단, 중가투자로 대응
중기 투자시에는 240일선으로 최종 추세를 확인하고 60일선과 120일선 기준으
로 분할매수 / 매도 관점으로 접근하면 된다. 종가가 240일 위에서 꾸준히 형
성된다면 단기투자 보다는 중기투자 관점에서 보유기간을 길게 가져가는 것이
옳다.
7. 480일 이동평균선
- 초장기 추세를 판단하는 도구, 대한민국 경제흐름의 지표이다.
돌파시 대세 상승으로 인식
지수와 종목추세별
1. 매매
◆ 지수 상승, 종목하락 - 단기매매 반대, 중기매매 찬성
◆ 지수 하락, 종목상승 - 단기매매 찬성, 중기매매 반대
◆ 지수 상승, 종목상승 - 단기 / 중기 모두 찬성
2. 차트와 가치의 비율
◆ 대형주 - 차트 30%, 가치 70% (가치 우선 고려, 차트 단순 참고)
◆ 중,소형주 - 차트 70%, 가치 30% (가치보다 차트흐름을 우선)
◆ 코스피 - 차트 30%, 가치 70% (코스피 우량주는 가치판단을 우선)
◆ 코스닥 - 차트 70%, 가치 30% (코스닥은 우량주라도 차트를 우선 고려)
'주식매매 TIP > 차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를 위한 중요한 이동평균선 기본 법칙 (0) | 2019.09.20 |
---|---|
일반적인 보조지표 (0) | 2019.09.20 |
RSI의 정의 와 의미 (0) | 2019.09.20 |
OBV를 이용한 분석 (0) | 2019.09.20 |
주식거래량의 의미와진실 (0) | 2019.09.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