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공부/기본적분석'에 해당되는 글 15건

  1. 2020.05.15 종목분석의 기본지표 'PER'
  2. 2020.05.11 적정 주가 구하기 - 비탈리 카스넬슨의 절대 PER 모형
  3. 2020.04.14 밸류 트랩
  4. 2019.08.22 재무제표 간단하게 보는법
  5. 2019.04.22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주식 PER 종목 선정 활용법

주식투자 수익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주식가치를 간단히 가늠해보는 간단한 지표인 PER(주가수익비율)을 업그레이드시킨 다양한 버전을 집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 가치주는 지속적으로 인

book.naver.com

 

   PER을 어떻게 해석해야 될까? 그냥 낮으면 싸다? 높으면 비싸다??의 개념으로 해석하면 되지만..., 종목선정할때 단순PER개념으로 종목선택했을때 차트상으로 저PER종목의 장기하락추세인 경우와, 고PER종목의 장기상승추세인 경우를 볼 수 있다!~ 실전투자에서 가치투자한다고 저PER종목에 장기투자했는데 오르지 않는 경우가 많아서 우리나라에서는 가치투자가 통하지 않는다는 말을 많이 듣는다!~ 단순하게 PER만 보고 잘못된 종목선정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투자종목선택할때 per은 어떤 의미가 있는지 공부해야 된다!!~

 

 

 

 

[주식 종목 선정] 가치투자 선택 PBR PER이란?

#주식종목선정 가치투자 선택 PBR PER이란?​투자를 귀재로 알려진 워렌버핏은 '10년이상 가지...

blog.naver.com

1. 회사가치에 비해 얼마나 저평가인지 확인

2. 과거의 실적이 미래의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는다.

 

 

 

 

주식 용어 PER PBR 의미 / 주식 종목 선정의 기초 (feat. 포스코케미칼)

​​​안녕하세요!주린이 꿀자몽입니당​​​​​​​요즘 같은 주식장이10년에 한번 오는 장이라네요.왜 ...

blog.naver.com

 매출이 줄어들면, 저평가로 오인

 적자기업은  투자대상에서 제외

 

 

 

한달에 책 두권(1月) : [경제경영] 주식 PER 종목 선정 활용법★★☆

어려운 번역체 문장들과 쉽지 않은 말들이 콤비를 이뤘다.왜 하필 공부머리 독서법을 읽고 이 책을 골랐을...

blog.naver.com

 1. 동일 업종끼리 비교

 2. 성장주 PEG 활용

 

  p.s>

'메트릭스튜디오' 책을 보면 per보다는 pbr이 낮은 주식이 수익률이 더 좋았다고 한다!~

per과 함께 roe를 같이 보면서 우량주이면서 성장주인 종목을 고르면 좋다!~

per외에 현금흐름, 유보율, 부채비율 등 기본정보로 돈을 많이 벌면서, 여유자금도 많고 빚도 없는 좋은 기업에 투자해야 된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investor-js.blogspot.com/2014/03/per.html

 

적정 주가 구하기 - 비탈리 카스넬슨의 절대 PER 모형

IT비지니스와 개발, 그리고 투자에 관한 블로그입니다.

investor-js.blogspot.com

 

 가치투자의 매수가격과 매도가격은 차트없이 어떻게 결정해야 될까?

자신의 생각하는 회사의 적정주가를 구해서, 적정주가기준으로 싸다고 생각되면 매수하고 비싸다고 생각되면 매도하면 된다!~

 간단하지만, 어렵다!~

 가치투자의 어려운 점이 재무제표와 회사실적등을 알기위해서 시간도 오래걸리고, 전문가 수준의 지식을 요구한다!

 적정주가 계산기 같은 프로그램이나 엑셀파일도 있긴하지만, 대부분 투자자들은  단순하게 가치투자지표 PER, ROE, PSR 등의 지표를 참고해서 투자하는 편이다!!~

 자신의 투자방식이 기본적분석을 더 중요시하고, 자신있다면 이런식으로 투자하는 방법이 좋을 것 같다!~

 가치투자자라면 열심히 공부해서 투자하는 종목의 적정가격을 기준으로 투자해야 된다!!~

 주식책중에서  재무제표중심의 가치투자 책들이 많이 있지만, 기초부터 배워야되서 어렵게 느껴진다면 이런방식으로 투자할수도 있구나!! 하고 기억해놨다가 나중에 투자내공이 쌓이면 투자지표로 참고하면 될 것 같다!~

 

 

 

 

제가 사용하는 저평가 , 적정주가 판별법

​문의를 많이 주셔서 설명 드리겠습니다~​주식을 고를 때 저는 "부자가 될 회사" 를 고른다고 ...

blog.naver.com

  위의 내용이 어렵다면, 선물주는 산타님의 적정주가 판별법을 써보면 좋을 것 같다!~

재무제표 잘 모르는 내가 처음에 per 공부했을때 방법은 PC방이나 편의점을 장사를 한다고 했을때 per이 10이라면 내 돈(투자금)을 회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10년이라는 개념이었다!~

(아니면 10년 정기예금의 이자를 계산해보면 연 10%의 단리 이자로 계산해서 저축한 돈의 원금을10년투자해서  2배로 불린다는 계산이다!~

 ROE가 높을 경우 회수하는 시간이 더 짧아진다!~

 주식시장을 이기는 작은책을 보면, 아무리 차트투자자라고 해도 "와!! 이런주식도 있구나!!~" 하고 눈이 확 떠진다!!~

 다만 실제로 상승하는지는 확신이 없다!!~

 거래량이나 수급, 그리고 배당같은 주주친화기업, CEO의 도덕성이나 리더쉽등등 투자종목의 질적분석이 필요하다!

(처음 들어보면서 이해하기 힘든 종목?? 아니면 그냥 소외주라서 그런가?? 기관이나 개인들이 잘 투자하지 않는다!~ 여기서 가치투자에 대해서 의문이 들기도 한다!! 밸류트랩인건가?? 상승할것 같은 종목인데 왜 안오르는지 이해가 잘 안간다!!~ 매출도 늘고, 이익율도 높으면서도 배당에 인색한 기업이거나 일반 개인투자자들이 좋아하지 않을것 같은 종목들일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 가치투자 잘 안통한다는 말을 많이 듣는데,  10배 100배쯤 오를것 같은 주식에 혹하는것이 사람들 심리라서 그런지 뭔가 세력?이 이용할만한 호재는 잘 안나오는 심심한 기업들이다!~)

 이런식으로 투자해도 소형주의 경우는 불안해서 분산투자를 하면서 리밸런싱 하는 투자를 해야된다!~

  슈퍼개미들이 투자하는 종목들 중 이런 종목이 많은데, 일반 개미들은 그냥 마법공식에 따라서 투자하면서 차트나 테마등  오를것 같은 종목위주로 포트폴리오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유튜브 보면 대주주랑 슈퍼개미 싸우다가, 급락하는 경우도 있다!! 기업ceo가 간섭받는 것을 싫어하는데 대주주라고 참견해서 대주주모르게 유증하면서 일부러 주가를 희석시켜서 슈퍼개미는 어쩔수 없이 손실보고 팔 수 밖에 없다!!~

  기업ceo위주의 경영환경이라서 우리나라는  이런경우가 의외로 많은 것 같다!!~ )

 시간이 지나면 오르는 종목중에 고per종목이 많아서, 이건 고per니까 안산다!! 나는 적정주가아래의 주식만 산다는 원칙을 가질수도 있다!!~

  그런데, 고per일 경우는 성장주로 판단해서 적정주가를 산정하는 방법으로 계산해서 적정주가라고 하기도 한다!!~

주식투자라는 것이 참 쉽지 않다!!~

  이런방법이 머리아프다면 그냥 단순하게 시가총액 규모 1000억원이상, 5000억원이상, 1조원이상의 우량주에서 차트로선별해서 비중에 맞게 자금을 분배해서 분산투자후 포트폴리오 매매하는 방법도 있다!~

 중국과의 무역전쟁이나 코로나에 별 타격입지않을 것 같은 네이버, 카카오처럼 그냥 알만한 기업을 그냥 오르면 오른다고 해서 사는것이 현실적으로 더 나을수도 있다!!~

 ("네이버나 카카오는 수익창출모델이 다양해서 다양한 사업중 한부분에서 특출한 이익을 보여서, 시장성장성이 우수하므로 고per이지만 미래가치는 환산한다면 높은수준은 아니다" 라면 투자자들을 설득할 수도 있다!~)

 아니면 자신의 경제지식을 동원해서 지금은 저per종목이지만 자신이 생각하는 기업가치는 더 높기 때문에 지금 per보다 더 낮게 평가받아야 된다고 생각하고 투자할 수도 있다! 그냥 평범한 기업이고 매출성장도 정체되어있지만,원재료 인하로 인해 자기자본이익률이 크게 늘것 같으므로 남들이 모르는 더 저평가된 가치주라고 판단이 들면 차트보면서 저가에 분할매수해서 기업가치 훼손되는 큰 악재가 없는한 손절안하고 버티기매매할수도 있다!~

(가끔 돈 많은 투자자들이 저평가기업을 대상으로 M&A나 경영권분쟁등의 이슈가 나오는데 주식투자무작정따라하기 같은 책에도 매수의 근거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투자공부] 적극적 가치투자(Active value investing)

밀리의 서재 앱을 통해서 작년 10월이후에도 책을 꾸준히 읽기는 했지만, 가슴에 꽂히도록 맘에 드는 투자...

blog.naver.com

 

 평소에 가치투자를 안하다보니, 차트만 보고 투자하는 경우가 많다!~

(요즘은 바빠서 차트 못보니 단타나 스윙으로는 투자하기 힘들다!!~)

 

 그래도 기본적인 분석상으로도 괜찮은 회사가 차트모양상으로 좋은 추세의 흐름을 보여준다!~

(테마주같은 급등주보다 잘 안알려진 주식의 적당한 수익률을 얻는 방법도 좋을 것 같다!!~

 수익률은 조금 떨어지더라도 전체 자산을 투자할만큼의 우량투자자산을 장기 보유한다면 복리로 투자했을경우 수익률대비 수익금이 많다!~

 적당한 가격에 수익실현후에 다시 더 좋은 종목 포트폴리오 조정후에 계속해서 전체자산과 복리수익을 늘리는 투자방법이 기본적인 주식투자방법이다!~

 다만 이정도 내공의 투자방법을 익히는 것이 어렵다보니 잘 안쓰게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아쉽게도 현실투자에서 이런 부분을 까먹고 투자하다보니, 포지션을 오래 보유하기 힘들다!~

  차트분석을 먼저 하더라도, 기본적인 분석과 수급등 양적, 질적 , 성장성, 가격등 다각도로 꼼꼼하게 살펴봐야 개별종목에서의 손실을 줄이고 장기투자로 전환할 수 있다!~

(가치투자 열심히 해도 손실보는 경우도 있고, 차트만 보고 개잡주 물려서 시드머니 날리는 일도 있다!!~

 투자는 단순해야 되지만, 유연성 있게 대처하는 방법이 필요한 것 같다!!~)

 

 트레이더라면 가치투자를 할 필요가 없겠지만, 차트보기도 힘들고 바빠서 3달이상 보유하는 경우가 많다면 가치투자를 조금씩 공부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테마주는 매수매도에 참여하는 트레이더들이 많아서 찌라시나 급락등 갑작스러운 악재에 대처하기 힘들경우가 많다!

  중소형 가치주, 실적성장주 같은 주식들도 시장의 영향을 받겠지만 분산투자하면서 위험성을 줄인다면 갑작스러운 악재에 노출되는 빈도가 적을 것이다!~

 유튜브 보면 트레이딩 하는 분들중에도 반도체같은 산업의 주식을 선호하는 편이다!

 실제로 지금 실적을 내고 있는 수출주도 산업외에 4차산업같은 미래성장형 산업은 버블이 생길수 밖에 없고 시장의 상황에 따라 언제 급락할지 모를 위험성이 있다!

 특히 대북주같은 테마주의경우 정책적으로 발전가능성이 높은 상당히 매력적인 주식이지만, 오래 들고 있기 불안하다!

 투자종목이 상승추세중인데도 갑자기 김정은이 뜬금없이 미사일을 쏘면서 도발할 지 알 수가 없다! 그러다보니 미사일 쏠 것? 같다는 찌라시만 돌아서 큰 손실보고 손절할 수 밖에 없다!!~

돌발악재에 투자자 패닉상태가 자주 일어나면 변동성도 크고, 손절후 재매수를 해야되서 투자가 아닌 투기종목이 된다!

 실시간으로 호가창 보면서 대응해도 큰 손실을 피할수는 없어서 투자자라면 적합하지 않은 종목이다!~

 

 차트투자자 입장에서는  좋은 기업, 좋은 주식?이 상승추세일때 보유하고 추세가 꺽이면 더 좋은 종목으로 갈아타는 교체매매(포트폴리오조정)를 하면 심리적으로 안정감있고 투자승률이 더 좋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승률보다는 수익률을 기준으로 투자하면 높은이익을 올릴 수 있겠지만, 승률이 높다면 배팅을 크게 해볼수도 있다!

 (켈리의 법칙에서 한 번에 투자할 수 있는 일정 비율의 자산을 투자할때 승률이 낮다면 적은 자금밖에 투입할 수 밖에 없지만, 승률이 높다면 배팅할 수 있는 자금도 크게 늘릴수 있다!)

 

 가치투자자입장에서는 쌀때 사서 비싸게 팔면 되겠지만, 인내심이 요구되고 시장수익률에서 소외되는 경우도 있어서 

수익률이 아쉽다면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만약에 삼성전자를 가치투자했는데 시장ETF보다 수익률 안좋다면, 자금의 일정부분은 중소형가치주나 성장주를 발굴해서 분산투자후에 타이밍전략을 쓸 수도 있다!!~ 단기 수급상 개인투자자들이 아무리 많이 사도 외국인 기관들이 선물매수 현물매도 전략으로 삼성전자를 현물매도하면 단기적으로 수급상 심리상 올라가기 힘들다!~ 

오르지 않는 주식이라면 시장에서도 인기가 없어서 신규매수세도 기대하기 힘들다!~

대형주는 선물, 옵션, 공매도, 프로그램매매등 복잡한 투자전략이 얽혀있어서 추세추종전략 잘 안먹히겠지만 투자심리상 박스권 깨고 내려가는 주식은 투자자금 크지 않는 개인투자자의 경우 유연하게 대응해야 된다!~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우량주이지만, 투자한 자금이 너무 많다면 물량을 조금 줄이던지, 한종목 몰빵이나 거액을 투자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치투자라도 손절을 고려해볼 수 있다!~

 대형우량주라도 한번 떨어지면 어디까지 떨어질지도 모르고, 손실이 -10%이상 넘어가면 처음 매수할때 가치투자의 원칙으로 장기투자로 접근했다고 해도, 심리적인 타격이 크다!~

 적정주가보다 싸다고 생각해서 매수했을경우 hts나 mts의 증권계좌는 계좌상 손실일뿐 아직 미실현이익이고 여유자금으로  5년정도 보고 장기투자로 접근했기 때문에 괜찮다고 생각한다면 나쁘지는 않지만, 단기투자전략으로 접근한 종목에서 -10%이상 손해가 나서 비자발적으로 장기 보유 하다보면 좋은 종목이 보여서 투자하고 싶을때는 투자금이 없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주식투자할때 포트폴리오 분산해서 단기계좌와 장기계좌를 나눠서 투자하는 방법도 있어서, 장기계좌의 주식이라면 시간??에 투자해서 수익날때까지 보유할 수 있다!!!! 

 

 차트상으로 재매수를 하게 된다면 전저점부근에서 재매수해서 장기보유해서 손절하거나 전저점돌파할때 매수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 차트매수시점은 바닥지나서 상승하는 지점이지만 가치투자한다면 차트상 전저점부근에서 분할 매수 하는 방법을 쓸 수 있다! 전저점 이탈 기준으로 이중바닥이라고 생각하고 매수하면 손절비율도 짧고, 상승장에서 소외된다고 해도 장기투자자에게는 싼 가격에 매수할 기회가 된다!~ 

 바닥에서 매수하는 것은 기술적분석상 좋은 매수시점은 아니지만 기술적 분석매매법으로 적은 손실로 대응할 수 있다!~

  주식시세에서 상승하던 주식의 장대음봉과 큰 거래량은 위험신호이지만, 바닥권에서 장대음봉과 평소보다 많은 거래량은 기존보유자의 투매물량과 거대 매수세력의 저가매수의 신호일수도 있다!

  가치투자자 입장에서는 적정주가보다 기준으로 싸게 매수할 수 있는  좋은 매수시점일 수도 있다!~

(단점이라면 전저점까지 가격이 하락한다면 시장공포심리가 극에 달해서 쉽게 매수할 수 없다. 그리고 매수후 바로 수익이 나는 시점이 아니라서 인내심을 갖기 힘들다!   이런 경우 차트를 주봉이나 월봉으로 보고 장기 이평선 보면서 눌림목구간이라고 판단하고 대응하면 심리적으로 괜찮을 것 같다! 심리적으로 역행하는 부분이면서 실제투자경험이 필요한 부분인데... , 가치투자자의 확고한 철학?, 기업펜더멘털에 대한 확신?? 과 신뢰 등 이 필요할 것 같다!!~ 

  최근에 본 뉴스에서는 월가의 전문가들이나 워렌버핏이 주식을 매수하지 않은 이유중 하나가 자신들의 생각하는 가격까지 떨어지지 않아서라고 한다!~

 자신의 생각하는 가격까지 떨어지지 않으면 매수하지 않는다는 원칙은 중요하다!~

(그런데 너무 싸게 사려다가 시장이 빠르게 반등하면 투자기회를 잃어버리기 때문에 분할매수로 적정가격에서 사는 방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바닥확인하려다가 V자 반등나와서 그냥 멍하니 시장만 바라보다가 비싸게 사는 투자자들도 많을 듯 싶다!!~)

 가치투자는 안전마진등 잃지않는 투자를 목표로 하기때문에 심리적인 안정감이 있어서 좋은 투자방법이지만, 상승장에서 소외되는 종목이 되는 경우도 있어서 생각보다 수익률이 적을수도 있다! 투자자입장에서는 저가에 사서 오를때까지 기다려서 수익낸것을 만족하면 상관없겠지만, 오랜시간동안 치킨대신 라면 먹으면서 아낀돈으로 영화보거나 게임할 시간에 열심히 유튜브보고 책보면서 공부한 시간이 많이 아까울것 같다!

 그렇다고 지금 너무 많이 오른 주식 사는 것보다는 그냥 보유하는 것이 좋을 것 같지만, 트레이더라면 시간 손절매를 사용할 수도 있고, 투자자라면 기존 이익나는 종목의 추가매수나 다른종목으로 교체할 수 도 있다!!~

 전통적인 가치투자입장에서는 무조건 싼 종목만 사서 장기보유하는 것이 손실을 보지않는 좋은 투자방법이겠지만,

 가치투자종목을 적당한가격에서 매수하는 방법으로 투자하는 방법도 있으므로, 너무 싼 가격으로 매수계획을 세우지말고 기본적분석과 기술적분석을 하면서 유연하게 대처하면 좋을 것 같다!~ 

(가치투자종목에 기술적분석 결합해서 눌림목 노리고 매수했는데 하락하면, 일단 손절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단기적으로 수급상 기관이나 외국인이 매도세도 계속된다면, 그 주식의 전망을 안좋게 본다는 얘기일수도 있다!!~

 상승세를 이끌던 수급이 눌림목구간이라고 판단되어지는 조정하락세에서 보유물량 팔고 이탈이 나온다면 일단 관망해야된다! 그리고 매수를 한 경우에는 계획대로 손절하는 단기적인 위험관리 전략도 필요하다고 본다!~

워렌버핏 투자 관련 책에서는 내일 팔 주식을 매수하지 말라고 했지만, 뉴스에서는 워렌버핏도 단기간에 매수한 주식을 손절하는 위험관리를 하기도 한다!~

 단기간 시세의 변동성때문에 가치투자한 종목을 팔면 안되겠지만, 자신의 매수한 판단기준이 유효한지 점검해봐야 된다!!~

(예) 유가하락에 따른 실적상승을 이유로 투자한 종목이라면, 자신의 예측과는 다르게 유가상승반전의 흐름이 나왔을때는 처음 매수판단기준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으므로 자신의 판단이 틀렸다는 것을 인정해야 된다!~

  만약에 자신이 투자한 주식종목에 대해 악재나 실적악화등의 뉴스나 리포트가  뜬다면 단기투자의 경우 손절이 불가피하다!

(가끔은 9.11테러처럼 단기악재가 매수기회가 되는 경우도 있긴하다!!~ 

 이번 코로나도 단기악재로 매수의 기회이긴 했지만, 자신의 투자종목이 코로나때문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업종들은 아직도 주가회복은 느리고 앞으로의 전망도 확신을 갖고 투자하기는 힘들다!~)

 

 주식투자에서 손실이 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투자종목을 잘 선별하는 것도 손절을 줄이는 한가지 방법이다!

가치투자나 추세추종전략이나 좋은 종목에 올라타서 장기보유하는 것이 성공투자의 지름길이다!~

 

 

https://m.blog.naver.com/hzakk/222047945901

 

선물주는 산타의 주식투자 시크릿 2(종목 선정법)

제 4장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 아닌 사고 싶은 기업을 찾는다(선물주는산타의 종목 고르는 법) "나는 ...

blog.naver.com

 선물주는 산타님도 브랜드를 강조하는데..

가치투자할 때 이것도 좀 검토하면서 투자해야 될 듯 하네요!~~

 

https://m.blog.naver.com/hzakk/222047945901

 

선물주는 산타의 주식투자 시크릿 2(종목 선정법)

제 4장 투자하고 싶은 기업이 아닌 사고 싶은 기업을 찾는다(선물주는산타의 종목 고르는 법) "나는 ...

blog.naver.com

 

https://boks-fam-in-korea.tistory.com/40

 

[재테크서적 서평/리뷰 02] 「선물주는 산타의 주식투자 시크릿」

선물주는 산타의 주식투자 시크릿 이번책은 주식관련 책이다.블로그에서 주식관 관련된 블로그를 운영하며 적중율로 유명해진 블로거의 책이라고 한다. *저자소개 8천만 원의 종잣돈으로 8년

boks-fam-in-korea.tistory.com

 

 

선물주는 산타님의 적정주가 찾는 법 링크가 없어졌는데, 못찾겠네!!!! ㅠ.ㅠ

'주식투자공부 > 기본적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와 주식 그리고 투자  (0) 2020.09.02
종목분석의 기본지표 'PER'  (0) 2020.05.15
밸류 트랩  (0) 2020.04.14
재무제표 간단하게 보는법  (0) 2019.08.22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0) 2019.04.22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가치주보다는 성장주가 주가 회복률이 더 좋다!!~

 아무래도 꿈이 있고, 전망 좋은 주식에 투자자들이 몰린다!!~

 다만 타이밍 잡기 애매하면 가치주 투자도 괜찮아 보인다!!~

 가치주는  차트상 장기 이평선 하락중이라면 이평선 돌파를 기대하기 힘들다!~

  성장주는 매물대가 없으니 눌림목 주면서 상승가능성이 높다!!~

  

   성장주가 주도주가 될 가능성이 높아서 투자를 하려면 성장주위주로 관심종목을 정리해야겠지만...

   가치주는 '안전마진' 개념으로 접근하면 수익률은 좀 적더라도 마음이 좀 편할 것 같다!~

    유동성 자금이 아무래도 성장주 쪽으로 많이 갈것 같아서 가치투자 종목하려면 남들이 모르는 가치투자종목 찾아봐야 될 것 같다!~

 

p.s> 차트투자자 입장에서 추세가 강한 종목이 좋은 종목이다!~

   덜 올랐으니 더 오를것같다는 믿음으로 투자하면 안될 것 같다!~

   오르는 주식이 인기주식이라서 더 잘 오른다!!~

    시장상승하는데 안오르는 주식, 상승장에 하락하는 주식보다는 시장이 조금 상승할때 크게 상승하는 종목에 매수해야 된다!!~ 시장이 하락할때는 덜 떨어지는 종목이 강한 종목이다!~

   돈의 흐름(유동성, 거래대금등)을 보면서 투자해야 단기적으로 수익률이 높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s://youtu.be/92550HuR3Ss

 

 가치투자자들은 좀 더 자세하게 공부할 필요가 있지만, 트레이더에게는 적어도 부채보고 상폐를 피하기위해서 필수적으로 봐야 된다.

 재무제표, 차트, 호가창등 공부할 것이 많지만, 하나의 분야보다는 다양하게 기본적인 지식정도는 습득한 다음에 투자해야 된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출처:http://everystocks.com/board_VZas27/74357

 

주식의 기본적인 분석 - 주식 매매 TIP & 용어 - 모두의재테크

기업의 기본을 분석하라. 1.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 3년 이상의 재무제표를 참조하라. 흑자기업인지 적자기업인지 파악하고 현금흐름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인지 여부를 파악하라. 2. 관심기업이 매출이나 이익변동성이 큰 기업인지 작은 기업인지 파악하고 변동성이 클 경우 기업의 평균적인 이익창출력을 산정하라.또한 현금흐름표 및 핵심재무손익비율 검토를 통해 분식회계를 방지하라.&nbs...

everystocks.com

기업의 기본을 분석하라.

 

 

 

1. 재무상태표,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등 3년 이상의 재무제표를 참조하라. 흑자기업인지 적자기업인지 파악하고 현금흐름과 영업이익이 증가하는 기업인지 여부를 파악하라.

 

 

 

 

2. 관심기업이 매출이나 이익변동성이 큰 기업인지 작은 기업인지 파악하고 변동성이 클 경우 기업의 평균적인 이익창출력을 산정하라.

 

또한 현금흐름표 및 핵심재무손익비율 검토를 통해 분식회계를 방지하라.

 

 

 

 

3. 모든 업종과 기업에는 기업가치 특히 수익창출력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들이 있으므로 그런 요인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사업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기업에는 아직 투자하지 마라.

 

어떤 기업의 히트 상품이 매출에서 얼마만큼의 비중을 차지하고 결과적으로 전체 수익이 얼마나 늘어날지 대강이라도 계산해 보고 가치평가를 해야 하며 지금 주가가 적정주가보다 싸다면 매수하라

 

 

 

 

4. 주식투자자는 당연히 이해가 가는 사업모델 장기 사업전망 동업자로써 오너의 자질을 봐야 한다.

 

 

 

 

5. 사업보고서는 경영진의 스타일을 읽을 수 있는 자료이므로 몇 년치를 비교하여 과도한 미래전망인지 실적에 대해 솔직한 기업인지 파악하라.

 

 

 

 

6. 주식투자에 있어서 승리하는 길은 원칙적으로 기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방법을 배우고 주식의 가치를 평가하는 법, 시장을 이해하고 대응하는 포트폴리오 운영법을 배우는 등 투자의 체계를 확립하고 비중을 지켜 좋은 기업을 매수하여 믿고 보유할 수 있는 자기 자신을 신뢰하고 인내할 수 있어야 합니다

 

1. 기본적 분석의 정의

 

   가. 정의; 기업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외적 요인에 대해 분석 하고 내재 가치를 구한 다음,

 

                 해당 기업에의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

 

   나. 내재가치; 기업의 기술력, 시장점유율, 경영자의 능력등 내적인 요인과,

 

                       금리, 환율, 정치경제적환경등 외적인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

 

   다. 분석대상

 

      1) 경제분석; 경기변동, GDP성장률, 금리, 물가, 환율등 거시 환경에 대한 분석.

 

      2) 산업분석; 대상기업이 속한 산업의 성장주기, 진입장벽, 가격동향, 원재료 수급 동향등.

 

      3) 기업분석; 해당기업의 재무상태, 경영성과, 기술경쟁력, 시장점유율, 브랜드인지도등.

 

 

 

2. 재무제표

 

   가. 정의; 기업의 재무 상태,경영성과, 현금흐름, 잉여금처리 내역등을 기업의 이해관계자에게

 

                 특정 시점에 사후 보고.

 

   나. 재무분석

 

      1) 성장성분석; 기업의 매출액이나 자산규모가 전년/동기/추세대비 증가나 감소를 분석.

 

      2) 수익성분석; 투하된 자본으로 일정기간 얼마나 성과를 올렸는가의 분석.

 

      3) 안정성분석; 기업의 재무구조가 기업의 원활한 활동을 할수있는 안정적인지를 분석.

 

      4) 활동성분석; 투하된 자본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사용하는지의 분석.

 

 

 

3. 투자지표

 

   가. 주당 지표

 

      1) EPS(주당순이익); (순이익-우선주배당금)/평군발행주식수

 

         - 1주식의 1년간 벌어들인 수익으로 경영자의 성과 판단.

 

      2) BPS(주당순자산); (자기자본-무형자산)/기말발행주식수

 

         - 기업의 자산충실도로 금융기관이나 광업등 판단에 유용.

 

      3) SPS(주당매출액); 매출액/평균발행주식수

 

      4) CFPS(주당현금흐름); (순이익+유무형자산상각비)/평균발행주식수

 

      5) DPS(주당배당금); 현금배당액/기말발행주식수

 

      6) EBITDAPS(주당영업현금흐름); (영업이익+유무형자산상각비)/평균발행주식수

 

   나. 주가관련 지표

 

      1) PER(주가수익비율); 주가/주당순이익

 

         - 주가가 순이익의 몇배인가를 나타내며 수익성을 중시하는 지표.

 

      2) PBR(주가순자산비율); 주가/주당순자산 

 

         -주가와 주당자산의 비교로 주가의 적정성여부를 판단하는 기준.

 

      3) PSR(주가매출액비율); 주가/주당매출액

 

         - 주가가 주당매출액의 몇배인가를 나타내며 매출액 성장 여력의 기대치.

 

      4) PCR(주가현금흐름비율); 주가/주당현금흐름

 

         - 주가가 주당현금흐름의 몇배인가를 나타내며 자금조달 능력을 현재주가와 비교한 것.

 

      5) EV/EBITDA; (시가총액+순차입금)/주당현금흐름

 

      ※베타; 주식의 변동성을 특정하는 것으로, 업종이나 전체시장이 변할때 주가가 변동하는

 

                  민감도로 베타계수가 '1'이라면 시장수익률과 평균적으로 같은 방향으로 움직임

 

 

기본적분석

 

 

 

기본적분석(fundamental analysis)은 기업의 내재가치를 분석하여 미래 주가를 예측하는 방법입니다.

간단한 예로, 앞으로 경제사정이 이렇게 변하고 어떤것이 유망사업이 될텐대..

이 기업은 돈도 많고 장사도 잘하는 기업이라 거기에 잘 적응하여 큰 수익을 낼 것이다.

그러면 이 기업의 주식은 별 볼일 없기 때문에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적자만 내다가 돈줄이 막혀 결국 망할 것이다..

따라서 더 늦기 전에 가진 주식을 몽땅 팔고 빠져나오는 것이 좋다 등등

 

 

이것을 가려내는 것이 바로 기본적 분석 이랍니다.

흔히들 재무제표 분석을 기본적 분석의 전부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지만 이것을 실은 맨 마지막 단계에 하는 것입니다.

 

 

 

 

 

<기본적 분석 진행순서>

 * 경제분석 -> 산업분석 -> 기업분석 -> 재무분석

 

 

1. 경제분석(economic analysis) 

- 앞으로 경기가 좋아질지 나빠질지 금리는 오를지 내릴지 등 기업활동을 둘러싼 전체적인 환경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분석합니다.

 

 

 

2. 산업분석(industry analysis)

- 그 기업이 속해 있는 분야가 앞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지 분석하는 것을 말합니다.

건실한 회사도 사양산업에 속해있다면, 전망은 그다지 밝지 않습니다.

 

 

3. 기업분석(company analysis)

- 특허나 훌륭한 경영자, 브랜드 이미지 등 그 기업이 가진 경쟁력을 분석합니다.

 

 

4. 재무분석(financial analysis) 

- 그 기업이 얼마나 경제적으로 안정이 되어 있는지, 효율적으로 조직이 운영되고 있는지를 회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처럼 흔히 말하는 가치투자는 기본적 분석을 기초로 하고 있습니다.

가치투자는 발전 가능성은 있지만, 현재 저평가되어 있는 주식을 사서 오를 때까지 기다리는 것입니다.

현재 이 기업의 주식이 원래의 가치보다 저평가되고 있는지, 오를 만큼 올랐는지 ,거품이 낀 것이 아닌지 등

이러한 것을 가려내는 것이 바로 기본적 분석입니다.

 

 

기본적 분석은 3개월에 한번정도 분석하면 됩니다(기본적 분석예)

 

 

 

포스코강판   058430   철강및 금속업

 

1 기업의 뉴스

 

주수요산업인 자동차 및 가전 산업에서 냉연강판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판매량이 증가해 2010년 매출은 전년대비 42.4% 증가한 1조 18억원 달성. 외형 증가에 따른 원가율 개선으로 영업이익도 47.8억원으로 흑자로 전환함.

알루미늄도금강판 45만톤 생산체제를 구축해 Product Mix를 개선하고 비탄소강 제품확대와 고수익성 아이템인 MCCL사업을 시작해 수익성 개선 예상. LED TV 및 조명용 PCB 소재인 MCCL(Metal Copper Claded Laminates)은 저수익성을 극복해줄 것으로 기대.

 

1)뉴스: 신영자산운용 포스코 강판 지분율 5%으로 확대

 

2)뉴스: 포스코 623개 협력사에 2200억 지원 약속

 

 

 

2 시가총액 (주가수x종가=시가총액)

 

시가총액 :1422억 (매출액이 1조 18억. 1422억으로 1조18억 매출하는 기업을 인수가능함)

 

 

 

3 주가 지분율(주식수를 누가 많이 가지고 있는가 분석)

 

포스코 56% 지분율   외국인 1%

 

 

 

 

 

4 액면가 (액면가는 주식회사가 자본금을 마련하려고 주식을 발행할 때 얼마 짜리 주식을 발행할 것인가 정한 가격을 액면가라고 합니다

 

( 액면가분활 :액면가가 5,000원에서 500원으로 10분의 1로 줄기 때문에 보유 주식수는 10배로 늘어나며, 주가는 10분의 1로 하향 조정됩니다)

 

액면가 5000원  주가수600만주

 

 

 

 5  성장성 분석

 

 매출액 ,영업이익, 순이익 (매출액은요 회사가 물건을 특정기간안에 팔아서 번돈이죠. 가령 삼성이 100조의 매출을 올렸다=100조어치 팔았다. 

영업이익은 회사의 영업으로 번돈 즉 세금을 제하고 얻은 순수입이죠.

순이익은 ?? 빼고 설비자금, 공장전기료.등등등 몽땅 다빼고 남은 돈이죠)

 

                           2008년           2009년          2010년

매출액                 9564억           7035억          1조18억

 

영업이익              903억            -329억손해   48억이익

 

순이익                 -485억손해    -192억손해    49억이익

 

포스코 지분율 56% :포스코가 주가를 56% 가지고 있어 포스코가 성장성을 도와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        

 

 

 

6  안정성 분석

 

자산총계(기업이 가지고 있는 돈) 부채총계(기업이 가지고 있는빛)

 

 유동자산 (1년동안 사용할수 있는돈)유동부채(1년동안에 청산해야할 빛)

 

                           2008년          2009년            2010년

 

자산총계              4878억          4601억            5033억

 

부채총계              2138억          2502억            2551억

 

 

 

유동자산              2938억          2266억            2654억

 

유동부채              2476억          2053억            2404억

 

이익잉여금           783억            578억              615억

 

 

 

이익잉여금(기업이 1년 동안 장사를 해서 돈을 벌고 각종 비용과 세금을 제하면

 

 

 

이걸 당기순이익 이라고 하거든요. 이 당기순이익을 누적적으로 몇년을 모아놓은게

 

 

 

이익잉여금입니다. 즉, 이익잉여금은 장사해서 번 돈으로 생기는 것입니다 )

 

 

 

포스코 지분율 56% :포스코가 주가를 56% 가지고 있어 안정성을 포스코가 보호할

 

가능성 높습니다 ..

 

 

 

7 주가의 기본적 분석 (기본적 분석은 3개월마다 분석)

 

EPS(주당 순이익):하나의 주식이 일년동안 벌어들인 수익...경영성과 파단

 

BPS(주당 순자산):하나의 주식이 기업의 자산 안정성 지표...금융기관에서 투자(대출)자료로

 

 활용하는 지표

 

ROE(자기자본 수익률);자본금을 투입하여 수익이 어느 정도인가를 나타내는 지표...은행이자

 

보다 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2008년               2009년                2010년

 

EPS(주당순이익)          -8080원              -3200원               820원

 

BPS(주당순자산)          36060원              41620원              62660원

 

ROE(자기자본수익률)     -19%                -8%                        1%

 

 

 

주가의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은 매일 분석)

 

 주가 이동평균석 분석

 

 주가  MACD 분석

 

 주가 거래량 분석

 

 

 

                               

 

                                 시가총액            매출액            순이익             포스코지분율

 

포스코강판                 1422억               1조18억           49억                 56%

 

포스코ITC                   9510억               8301억            175억                73%

 

포스코엠텍                 2665억                5246억            79억                 54%

 

포스코컴텍                 9367억               7561억            561억                65%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