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세추종전략(스윙)을 기준으로 종목을 선택할 때 어떤방식을 써야 될까?
제 3 단계 투자종목 찾을 때 해야 될 일
1. 매일 분석하기(단순하게 가격차트만 사용. 추가적으로 이동평균선 참고)
2. 하향식 분석을 상향식으로 적용. ( 종목->업종->시장)
3. 매매가능종목 리스트 만들기 - 일주일에 한번 20분
. 50일 평균거래량 종목을 50일 역사적 변동성 크기순(50일동안 가장 많은 수익율(%) 종목순)
단순히 추세 형성하거나 확실한 추세전환 예비신호 종목, 예비신호가 나올만한 종목 훓어봄, 절반이후 대충검색
-> 가능성 있는 종목 이면 '관심종목 100선'그룹으로 이동
*** 개인적으로는 KOSPI200종목, 코스닥150종목, 그 외 코스피, 코스닥 4개의 검색종목군을 나눠서 검색식에 적용
4. 되돌림 검색하기 - 매일 빠르게 검토
. 매일 장 후 50일 평균거래량 종목중 최근(당일제외) 20일 고점 20일 저점 검색해서 종목 걸러내기
. 역사적변동성에 의해 정렬
-> 특별한 패턴 종목이면 '관심종목 100선'그룹으로 이동
. 변동성이 전체시장보다 작으면 더 속도를 빨리해서 넘어감
*** 보통은 1일 주가상승율 높은순, 거래대금 많은순, 테마 상승율 , 거래량 전날대비 상승율, 검색종목 상위순등
5. 신규상장종목 분석
. 50일이상 거래되었을 경우 집중 검토 -> '추세좋고, 거래량 좋은 신규종목' > '관심종목100선' 선별
6. '관심종목 100선' 분석하기
. 과거의 주가 움직임이 깔금한지 검토
. 개별종목은 업종지수차트와 동시에 참고하여 넓은 범위에서 추세가 진행되는지 또는 추세전환이 발행하는지 검토
. 개별종목에 해당업종 메모
7. '매매리스트' 작성하기
. 업종별 '종목군 리스트' 작성
. 업종에 많은 종목에 더 집중 -> 업종분석에 더 유리
8. 업종분석
. 매일 업종 검토
. 추세 상승 업종, 추세하락 업종 따로 구분
. 업종의 상대적 강도 분석(기간별 업종상승률 순)
. ETF분석(5일거래량순 많은순 - 새로운ETF에 대한 유동성확인 목적)
. 큰그림 분석(숲을 본다) - 주봉차트, 월간차트 시장을 바라보는 균형감 유지 -> 정확한 시장 분석
*** 국내시장의 경우 주도주가 없을 경우 우선주나 품절주등 거래량의 적은 주식들이나, 테마주가 주도주가 되는 등
평소에 국내 업종과 테마업종의 주도주를 살펴봐야 된다!~
*** 하락장의 경우 투자를 쉬거나 현금확보, 배당주, 저변동성 주식, 금, 최근에는 비트코인등 자본이동을 확인하자.
*** 국내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가 빠져나가는지 확인하기 위해 환율흐름은 계속 체크해야 된다.
*** 미국시장과의 커플링(디커플링)을 확인하기 위해 전날 미국 주요증시, 유가의 흐름도 체크하자.
(예전에는 전날 미증시 결과가 국내증시에 큰 영향을 끼쳤으나, 최근에는 한국증시가 먼저 호재나 악재에 먼저
반응하는 등 미국정책에 따라 미국증시만 상승할 수도 있으니(디커플링) 체크
*** 아시아 시장(중국, 일본)등도 체크
*** 시장 주요 이슈는 없는지 미리 주식달력등 일정 체크(금리, 정책, 선물만기 옵션일, 개별종목의 실적발표일)
*** 중국증시(위안화)는 우리나라가 수출중심의 경제이면 제1수출국이 미국->중국으로 바뀌면서 큰 영향을 끼침
위안화와 원화가치는 상승이 경제에 유리.
*** 환율상승->수출상품판매가격하락->경상수지 흑자등의 이유로 경기민감주는 매출이나 순이이익 증가하지만,
장기적인 증시흐름에서는 환율고점이후 수출실적상승등을 이유로 환율하락기에 외국인들의 국내자금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음.
*** 단순한방법으로 상승율100종목, 거래대금100종목, 외인매수100종목, 기관매수100종목 등을 분석해보자.
*** 위와 반대의 방법으로 개인매수100종목, 공매도100종목, 신용 100종목, 위험.관리등 종목을 피하도록 하자.
'투자종합 > 투자종목선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종목선택하는 방법 - 고급편 - (0) | 2019.05.17 |
---|---|
1. 종목선택하는 방법 - 기본편 - (0) | 2019.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