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주가지수 차트분석

 

 

 

월봉

 

 

 

 개수분석법 : 상승할 떄 양봉숫자가 조정시의 음봉숫자보다 많아야지만 상승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양봉하나 다음에 음봉 두

 

 개라면 하락으로 압력이 커진다는 의미이다.

 

 

 

 월봉에서의 거래량은 상장기업수의 증가, 액면분할, 유상증자 등의 이유로 큰 의미를 두지 않는다. 월봉에서 가장 중요하게 봐

 

 야하는 것은 기본 파동의 이평선이다.

 

 

 

 양, 음봉의 개수와 함께 파동이 쌍봉이나 쌍바닥을 형성하는지를 잘 관찰해야 하고 지금이 어느 시점에 와 있는지 감을 잡고 매

 

 매에 임해야 한다. 참고로 쌍바닥을 형성하고 상승시에는 꺽일때 외봉의 꺽임보다 쌍봉으로 꺽일 확률이 더 높다.

 

 

주봉

 

 

 

 주봉은 월봉보다는 빠르지만 일봉보다는 느리게 움직인다. 주봉에서는 스톡캐스틱 변수를 5-3-3과 10-6-6 두개 정도의 변수를

 

 적용해서 보는 것이 좋다. 하락국면에서는 스톡캐스틱 5-3-3에서 진바닥을 만들고 상승하는 경우가 많고 때에 따라서는 대세상

 

 승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크다.

 

 

 

 시장의 진바닥은 스톡캐스틱 5-3-3 변수를 놓고 쌍바닥 또는 3중 바닥형성을 확인하고 일봉상에서 상승 또는 하락의 강약포인

 

 트를 확인해야 한다. 강한 하락을 압도하는 강한 상승의 모습을 일봉에서 보여줄 때 진바닥을 찍고있을 가능성이 높다.

 

 

일봉

 

 

 

 하락장의 경우에는 봉의 형태가 대개 윗수염을 가진 형태의 봉들이 자주 출현한다. 일봉의 완성은 장이 끝난 후에 완성된다는

 

 것을 안다면 의미를 알 것이다. 특히 전날이 비교적 강한 음봉 출현 후 다음날 혹은 그 다음날 위수염 달린 음봉은 하락에 대한

 

 경고의 신호로 이해해야 한다.

 

 

 

 요점은 전날이 음봉이었을 경우 그 다음날의 시가는 속임수가 많다. 시가가 꺽였을 때는 종가관리를 해야한다. 음봉 다음에 나

 

 타나는 시가에서는 조심하는게 좋다. 시가가 조금 강하게 가는 듯해서 시가에 들어갔다가 의외로 강한 음봉의 종가를 맞게 되

 

 는 경우 있기 때문이다.

 

 

 

 지수에서 음봉이 나온다는 의미는 매도가 상당히 많았다는 이야기이다. 세력들은 매도 후에 바로 올리지 않는다. 이유는 세력

 

 역시 수익을 기대하고 매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외바닥에서 강하게 반등한 후에 첫음봉은 속임수가 많다는게 정석이다. 이때 첫 음봉 다음에 강한 양봉이 나오면 강한

 

 상승이 나올 수 있다. 양봉 발생 후 강한 상승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음봉의 개수가 늘어난다면 5일선의 하락전환가능성이 크다

 

 는 것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즉 너무 지나친 단타에 의존하기보다는 발생하는 봉의 형태와 함께 5일선 또는 10일선 지지관계의 여부와 결부시켜 향후 장세

 

 예측의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중기적 상승관점을 노리는 경우라면 5일선의 쌍바닥 형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5일선이 강한 상승 또는 쌍바닥 형성이 되면

 

 그 상위레벨의 주봉을 상승 방향으로 돌리기 위한 힘으로 작용한다. 그렇지 못하고 외바닥 상태에서 5이평선의 고점이 낮아지

 

 는 외봉추세라면 위험관리를 해야하는 시기로 인식해야 한다.

 

 

 

 참고로 장이 정말 강하면 박스권을 갭으로 돌파하는 경향이 있다. 지수분석에서 갭은 상당히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상승갭으

 

 로 시작했는데 2~3일 내에 그 갭을 닫고 올라서면 그것이 곧 지지선이 되고 상승하게 될 확률이 커지게 된다.

 

 

 

 갭이 메워질 경우에는 장의 힘은 약하다고 봐야하고 그 상태에서 5일선이 하락으로 돌아설 경우에는 박스권으로 접어들 가능성

 

 이 많다.

 

 

 

 중요한 포인트는 일본에서의 강약 포인트이다. 강한 상승 다음에 약한 조정은 긍정적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하며 조정을 받을

 

 때는 항시 조정의 강도에 관심을 두어야 한다.

 

 

분봉의 중요성

 

 

 

 강한 상승으로 치고 올라가는 시장이 과연 어디에서 단기적인 고점을 만들 것인지 아니면 강한 하락세를 보이는 시장이 어

 

 디에서 단기적인 저점을 찍을지는 30분봉에서 분병히 신호를 준다.

 

 

 

 분봉에서 봉자체 혹은 5이평선이 쌍봉을 나타내고 스톡캐스틱에서도 무너지는 쌍봉의 출현이 발생한다면 단기적 고점을 찍

 

 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강한 하락장세서의 단기적인 바닥 확인은 단기 고점 현상의 반대로 이해하면 된다.

 

 

거래량 분석 포인트

 

 

 

 거래량이 쌍봉을 형성하고 파동이 낮아지면 마지막 고점일 가능성이 크다.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중요한 것은 거래

 

 량의 개념이다. 예컨대 5분봉에서 거래량에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은 좀 곤란한 부분이 있다. 이유는 분봉에서의 거래량 개념

 

 은 아주 초단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

 

 

 

 핵심은 일봉 파동의 거래량을 주관점으로 보는 것이 포인트이다. 지수 일봉차트의 거래량은 신뢰도가 높은 반면 분봉 파도

 

 의 신뢰도가 떨어진다.

 

 

 

 30분봉 혹은 5분봉의 종합주가지수 거래량은 큰 의미가 없다. 이유는 종합주가지수가 움직이는 것은 대형주 때문에 움직이

 

 는 것인데 선물과의 차익, 즉 스프레드 때문에 그것이 프로그램 매매를 발생시켜 30분 정도 지나면 큰 거래량이 가끔 터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굉장히 규칙적이고 종합주가지수 5분봉을 보면 검증할 수가 있는데 그 거래량은 프로그램매매에 의한 거래량일 가능성이 크

 

 기 때문에 신뢰도가 떨어진다.

 

 

'주식매매 TIP > 차트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캔들과 거래량 분석  (0) 2019.09.18
거래량 분석방법과 주가와의 관계  (0) 2019.09.18
캔들차트패턴  (0) 2019.09.18
주식 보조 지표의 매매시점  (0) 2019.09.18
캔들차트  (0) 2019.09.17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