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평선과 거래량 분석 ①

 

거래량이 증가해야

매물돌파가 가능

 

 ①이전 고점을 돌파하기 위해서는 이전 고점 거래량보다 많아야 매물소화가 가능

 

 ②이전 고점 거래량보다 적은 거래량으로 고점 돌파시에는 세력이 물량을 꾸준히 매집한 상태로 보다 높은 가격에 팔고자 하는 의도

 

 ③이때 나타나는 것이 돌파갭, 상승갭을 통해 적은 거래량으로 집중 매물대를 돌파하는 것

 

중기이평선(60,120일)

 

 ①중기이평선 하락추세에서는 단기이평선(5,20일) 추세반등은 짧다.

 

 ②중기이평선 상승추세에서는 단기이평선 하락은 눌림목일 가능성이 높다.

 

이평선 추월의 법칙

 

 ①20/60/120일선이 상승추세인 상태에서 5일선 하락은 다시 상승추세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다.

 

 ②120/60/20일선이 하락세인 상태에서 5일선이 상승하면 다시 하락추세로 전환될 확률이 매우 높다

 

 ③60/120일선이 완만한 상승세인 상태에서 5/20일선이 하락하면 상승추세는꺽일 확률이 높다.

 

 ④60/120일선이 완만한 하락세 상태에서 5/20일 선이 상승하면 하락추세를 마무리하고 추세전환을 예고

 

이격도의 활용

 

 이격도 활용매매는 보통 60일선을 기준으로 잡는데 20일선을 기준으로 이격이 아래 방향으로 과다하게 벌어진 종목을 단기 반등세를 노려 매매한다.

 

 이격이 크다는 것은 주가가 집중매물대에서 벗어난 상태를 의미하므로 단기 급

 락시에는 매물공백을 노리는 매수세가 유입될 수 있는 원리를 활용한다.

 

이평선들의 교차

=추세반전

 

 주식은 추세가 전환되는 시점에서 매매를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때 변동성이 커지고 이평선과 추세선이 겹치면서 탄생하는 추세전환은 이평선들만 서로 교차되면서 진행되는 단기추세선보다 강하게 진행이 된다.

 

 하락추세인 경우 어평 지지선이 쉽게 붕괴되는 성향이 짙기 때문에 상투권에서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보수적 매매이다.

 

 

 

 

이평선과 거래량 분석 ②

 

정배열 이평수만큼

강력한 방어선을 보유

 

 ①20일, 60일, 120일이 정배열이면 주가가 하락시에 각 이평선들이 차례대로 지지대 역할을 해준다. 상승각도가 완만한 (30도 이하) 할수록 이평선 눌림목 신뢰도가 증가한다.

 

5일선 돌파

 

 ①최소한 양봉 몸통 중간이하에서 5일선이 상향 관통해야 추가 상승 확률이 높다. 

 

 ②5일선이 양봉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는 것은 단기 물량 소화가 충분히 이루어졌다는 증거이다.

 

 ③5일선이 양봉 몸통 위쪽에서 상향 관통할 경우는 5일선 저점에서 매수한 이들에 대한 매물소화가 충분하지 않았다는 상태이기 때문에 기간조정이 필수이다.

 

펀더멘털과 모멘텀

 

 펀더멘털은 기본이나 치초로 기업이 얼마나 재무적으로 건강한지 나타낼 때 사용되며 모멘텀은 주가의 힘이나 상승 에너지등을 나타낼 때 사용되어진다.

 

 주식시장에서는 펀더멘털이 개선되어야 주가 상승을 위한 모멘텀이 형성된다.

 

금등주의 초기거래량

변화 분석

 

 ①급등전 주가 변동폭은 크지 않다. 지루한 횡보세로 큰 거래량 없이 주가를 한단계 하락시켜 개인투매를 유도한다.

 

 ②급등 시점이 다가오면 거래량 변화가 온다. 거래량 증가와 감소가 반복되기도 하지만 주가는 큰 변화가 없다. 물량매집 대량거래가 발생한 경우에도 기간조정을 염두해 두어야 한다.

 

 ③거래량이 점진적으로 증가한다. 20일 평균거래량을 상회하는 계단식 증가가 일어난다면 매수관점으로 대응하고 대형주일수록 거래량 증가가 뚜렷하다.

 

 ④거래량이 증가하다 급감한 다음 다시 증가한다. 급증 급감을 반복하는 것은 급등 초기에 개인투자자들의 진입을 막기 위함이고 3일간의 거래량 변화를 통해 투기성 매수세 유입이 없는지 확인, 없다고 판단할 때만 본격적인 시세를 연출한다.

 

 ⑤거래량의 증가와 함께 급등세를 연출한다. 물량 매집이 완료된 상태이기 때문에 매수자가 추격할 틈도 없이 곧바로 급등시킨다. 어지간해서 개인들이 선취매 하지 못한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