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적 분석에 따른 유용한 시그널 8가지

 

단기고점의 쌍음봉 형태

(개미지옥)

 

 ①2개의 쌍음봉이 5일선 또는 20일선을 짓누르는 형국은 급락 또는 추가하락

    을 예고한다.

 

 ②절대 접근하지 말아야 할 형태

 

 ③미미한 상승이 발생한다고 해도 속임수일 가능성이 크다.

 

쌍음봉이후 주가가 5일선과 20일선에 갇히는 형상

(먹구름)

 

 ①1차 5일선 하향돌파 / 3일연속 음봉 - 징검다리 양봉 - 추가 3~4일 하락음봉

    - 20일선과 5일선 이평 수렴 - 눌림목 기대(예상)

 

 ②대급등 종목은 이 시점에 눌림목 반등을 기대하여 매수에 진입하면 안된다.

 

 ③매수를 하더라도 5일선 근처(돌파전)이나 전고점에서 일단 매도대응이 필요

    하다.

 

띠 모양 박스권 캔들을 갭으로 하락돌파하는 경우(두더지)

 

 ①굼벵이처럼 지루하게 5일이상 횡보조정을 받던 지수가 갑자기 아래로 하향

    이탈하면 단기폭락 또는 긴 추가하락이 나오므로 일단 빠져나와야 한다.

 

 ②두더지가 등장하게 되면 일단 매수를 보류하고 어떤 모양새를 만들것인지

    관망하여야 한다.

 

 ③거래량을 키우고 저점을 서서히 높이면서 양봉시그널이 2~3개 등장할 때 (5

    일선이 상향) 매수해도 늦지 않다.

 

추가하락하면서 거래량이 증가할 경우

 

 ①주가하락과정에 거래량이 실리면 숨겨진 악재가 있거나 물량을 장악했던 선

    도 세력이 물량을 털었거나 많은 사람들이 물렸다는 신호이므로 매수자제

 

 ②주가하락하는 음봉에서는 당연히 거래가 줄어야 한다.(매수자가 적기 때문)

    반대로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우는 선도세력이 개인들을 끌어들여 거래를 터

    뜨리면서 물량을 정리하는 것이다.

 

상승세가 멈추면서 대량거래량 발생

(상투)

 

 ①매집세력이 물량을 털은 흔적이므로 매도(고점에서 전형적 상투형태)

 

 ②대량 거래량은 이전의 최고 거래량을 초과하거나 육박한다.

 

점상초기 또는 급등 중간의 T 캔들 발생

(추가상승)

 

 ①당일 시초가 점상에서 일시적 수급 불안정으로 인해 상한가 이탈 후 수분내

    에 재진입, 꼬리가 짧을수록 전일 거래량의 70% 이하 수준일수록 신뢰성이

    높다. -> 이는 추가상승 또는 급등 지속을 암시하는 시그널이다.

 

 ②만약 거래량이 터진 상태에서 꼬리가 더 길어지거나 10시 이전에 상한가에

    재진입하지 못한다면 세력들의 흔들기라기 보다는 초기 물량장악에 실패했

    을 가능성이 높다 -> 긴목 T 시그널이 되면 급등주로서 자격이 약화(주가조

    정)

 

 ③급등중에 나오는 초단기 조정용 T 형 캔들의 고리는 짧아야 하고 거래량도

    적어야 추가 상승을 예상할 수 있다.

 

전고점 또는 신고가

 

 ①전고점 매물대는 투자자들의 강력한 심리적 저항선이다.

 

 ②가급적 추격 매수는 자제하고 돌파한 이후 재차 하락조정이 나올때 그 조정

    이 앞으로 형성된 고점자리이고 거래량은 줄어야만 매수타이밍이다.

 

3개의 장대음봉 발생

 

 ①3개의 장대음봉이 발생하면 계속해서 급락의 가능성이 높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