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afe.naver.com/geobuk2/224639

아직 정독은 못해봤는데..., 대충 잭슈웨거의 '시장의 마법사들'느낌과 비슷하다!~

다만 시장의 마법사들의 전문적인 트레이더 느낌이라면, 이 책은 가치투자, 성장주 투자등이 내용이 많고 차트나 손절매 원칙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다른 책과는 다르게 종목을 보는 눈을 키우는데 도움이 되는것 같다.

 재무제표나 per같은 지표보다는 그냥 자신만의 기준으로 종목을 보는 법을 요약되어 있어서 나름 도움이 된다.

외국 주식 서적의 아쉬운 점은 아무래도 예시에 든 종목들이 처음 들어보는 종목들이라서 우리나라 주식시장에는 도움이 안된다!~

 예전에 B.N.F같은 일본트레이더의 내용을 다룬 방송을 본 적이 있는데, 여기에 나온 트레이더들에 대한 내용은 분량도 적고 스캘핑이나 하루정도 오버나잇하는 데이트레이더에 대한 내용으로 뭔가 기대했던것보다 아쉽다!~

전체적인 분량은 가치주, 성장주, 이슈종목등을 바라보는 투자자들의 기준과 원칙에 대한 내용인 것 같다!~








https://blog.naver.com/dhghtjq/221842296457

실천편 리뷰 블로그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굉장히 기본적인 설명히 들어있는 단순한 책이다!~

리뷰도 별로 없고, 왜 샀는지는 모르겠지만..., 굉장히 뭔가 이끌렸던 책이다!~

아마도 내가 읽어본 책들 중 대부분이 이런 종류의 책이 아니었을까 싶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위에서 말한 내용과 다르게 나는 이 책이 꽤 마음에 들었다!~

기본적이지만 저자의 경험이 바탕으로 좀 더 쉽게 설명해주는 부분이 있다!~

 추세, 손절매 등 많은 책에서 애매하게 말하는 점이 아쉬웠는데...

이 책은 단순하게 설명이 잘 되어있다!~

  주식투자 무작정따라하기 가 이론적인 책이라면 이 책은 실전 차트에서의 쓰임세를 잘 얘기해주고 있다!~

앞으로 가끔 읽어보면 재밌을것 같다!~

 내가 실전 투자에서 골머리 앓고 있던 부분에 대한 실마리를 주는 책이었다!~

 오랜만에 즐겁게 독서했다!~


p.s> 처음에 읽을때 잘 몰랐는데 다시 읽어보니 저자의 차트관점을 배울수 있어서 좋았다!!~

      실제로 내가 차트보는 관점이 달라져서 배운점이 많다!!~

      언뜻 보면 기본적인 차트책인것 같지만, 기본적인 차트를 어떻게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지 배울수 있어서 초보투자자분들에게는 도움이 될만한 책이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투자종합/투자철학2019. 1. 22. 15:49



 





펌>거북이투자법 카페 - 겸손이 미덕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투자종합/투자철학2019. 1. 21. 17:57

http://www.successguide.co.kr/1302

주식투자의 대가들이 가장 중요하게 강조하는것이 투자 철학이다.

자신만의 투자원칙을 만들어 지키는것이 주식투자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가치투자 워렌버핏부터 우리나라의 주식투자 성공한 개인투자자까지 자신만의 원칙을 강조한다.

기본적분석이든 기술적분석이든 자신만의 투자철학과 원칙이 있어서 성공했다고 말한다.

 그런데 자신만의 투자철학과 원칙은 책으로 읽고, 배운다고 얻을 수 있는것이 아니다.

세계경제나 종목에 대해서 다른 사람들과는 자신만의 결정을 내릴수 있는 경험과 습관은 하루이틀에 만들어 지는 것 아니다.

 같은 뉴스에서도 이미 알려진 뉴스라고 판단해서 저가매수자들의 대량 매도를 예상하고 매수를 하지 않고 관망을 할것인지..., 아니면 이미 알려진 뉴스라도 주도주의 가능성과 추세가 아직 살아있다고 판단해서 눌림목 추세매매를 할 것인지는 단순하게 차트만 보면서 하기에는 자신에 대한 믿음 부족으로 심리적으로 흔들릴 수 있다.

 이 때 뉴스기사에 대한 해석과 통찰력, 투자철학(원칙)이 필요하다!!~

자신의 판단력에 믿음을 가질 수 있는 투자철학이 있다면 심리적으로 흔들리지 않고 적절한 시점에 매수, 매도, 칼같은 손절매도 가능하리라고 본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서점이나 도서관 가서 가볍게 읽어보고 구매하면 좋을것 같은 책이다.

책에 있는 내용이 내가 대부분 알고 있는 듯한 내용이어서 아쉬움이 컸다.

그렇지만 전체적인 내용은 괜찮은 편이다.


 단점은 특별한 저자의 노하우가 별로 없고, 기본적인 내용만 들어있다.

(특별한 비법보다는 기본에 충실한 데이트레이딩, 스켈핑이다!!~)


내가 읽은 책의 요약은 단타(데이트레이딩)!!~ 

 특히 시황매매로 최대한 상한가 따라잡기, 미리 원클릭으로 가격만보고 빠르게 매수

매수전에 차트와 정보를 보기에는 늦다보니 미리 매수하고 나중에 정보를 살핀다.

 보조지표는 저자는 안쓰지만 간단하게 요약되어 있다.

( 저자가  쓰지도 않는 지표설명은 다른책에도 다 나오는데..., 좀 더 다른 내용을 설명해주었으면 좋았을것 같다.)


 나중에 다시 보고 좀 더 적어야 겠지만, 그냥 기본적인? 투자서 같다.

그러나 이론적인 부분보다 실전에서 많이 써먹을 수 있는 방법이라서 초보 투자자이면서, 

실전 경험이 적다면 도움이 될 것 같다.


 차트보는 법은 기본만 나와있지만, 봉,거래량,이평선, 라운드 피겨 돌파등 시황매매에서는 충분할것 같다.


 저자가 주로 쓰는 방법인 시황매매는 트렌드를 읽고 오르는 주식만 잘 골라서 남들보다 빠르게 사서, 빠르게 파는 방법은 좋지만, 전업투자자가 아닌 이상 실제로 적용해서 쓰긴 힘들다.

 대부분 개미 투자자가 이런 방법을 쓰지만, 호가창을 볼 시간이 없어서 잘못하면 크게 물리고, 원치않는 장기투자자가 된다.

 만약에  전업투자자의 꿈을 키우고 있는 분들은 읽어볼만한 책이지만, 어떤 특별한 비기보다는 그냥 저자의 투자스타일이 담겨있는 책이라고 생각한다.


 "책 내용은 쉬운편이다. 주식투자 무작정 따라하기가 이론서 라면 이 책은 실전에서 투자하는 많은 분들에게 TIP을 주는 '실전투자조언서' 라고 보면 되겠다."


 https://www.instagram.com/s63.77/

책만 봐서는 어떤 투자스타일인지 확실히 모르겠다.

(15분봉 기준 3분봉까지는 해봤는데, 1분봉으로 상한가 따라잡기는 못해봤다.

그리고 1분봉으로 잠깐사이에 수익이 마이너스 되는 급박한 상황대처는 전업투자자 아니라면 따라하기 어렵다.)


저자의 인스타 손익나온 매매일지 읽어보면 종목이 손실이나도 전체 손익률은 수익이다.

자세히 보니 분할매수 하시는 건지 수익종목은 비중이 큰편이고, 손실종목은 비중도 작고 손절매도 잘하시는것 같다.

책에서 처럼 1분봉으로 실시간으로 호가창 보면서 매매 하시면서 매일 주도주 확인하고 짧게 스캘핑같은 매매로 꾸준히 수익을 올리시는 것 같다.

 인스타 들어가서 글 읽어보면 매매 팁을 많이 주시는데, 실제 매매에서 많이 쓰는 팁들인것같아서 괜찮은 것 같다.

호가창 보는 법은 책에서는 배우기 힘든 지식이다!~


책보면서 깨달은 것은

  '주식투자는 금액이 중요한것이 아니라 조금씩이라도 꾸준히 계속 수익을 얻어나가는 것' 




p.s>책을 너무 대충 읽고 시간지나서

 다시 읽어보니 나름 중요한 부분을 체크할수 있는 부분이 있어서 괜찮았다!!

  ( 근데 책 다 읽고 내용이 기억이 잘 안난다 ㅠ.ㅠ )


  책내용중 중요한 부분이 몇 개 있었는데..., 다른 책을 읽고 나서야 깨달은 것 같다!!~

   간단하지만 중요한 부분을 얘기도 해주고 뭔가 좋은 팁을 배워가는 느낌이다!!~


    외국 주식 도서가 저자의 투자를 집대성한 느낌이라면, 국내도서는 책 내용이 적다!~

    그래도 국내주식투자환경에 맞는 투자팁을 배울수 있어서 틈틈히 읽어보는 편이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ziintax.com/221256863237

금융소득 2천만원 이상이면 고지서 받지 못해도, 5월신고기간에 자진신고.

개인의 경우 이자소득과 합산한 금액이 7천만 원 미만이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하지만 종합소득세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유: 개인의 경우 1차로 15.4%의 세금이 지출되었기 때문에...)


기타ETF 특히 레버리지와 인버스는 많은 사람들이 매매하고, 금액도 큰 편이라서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할 일이 생길지도 모르니 필히 알아두자!!~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s://blog.naver.com/bm9351/221436253346


장점: ETF매매시 수수료면제, 세금혜택등 있음

단점:추가적인 운용수수료와 의무가입기간(5년)

       5년동안 자금이 묶여있어야 하고 5년 유지를 못할 경우 세금과 수수료 부담

특히 비과세 혜택이 운용 기간 내의 총 수익에 대해서만 적용된다는 사실을 허울만 좋은 혜택이 라는 의견도 있음

결론: 자산운용이나 장기투자용으로 적합. 단순하게 레버리지, 인버스ETF등 단타로 투자하다가 CMA 등으로 자금이동이 안된다는 단점이 있어서 사용하기 애매하다.



'주식투자공부 > 국내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내방식대로 정리  (0) 2020.01.02
금융소득 종합과세 신고안내  (0) 2019.01.21
ETF투자시 발생하는 세금 알기  (0) 2019.01.21
ETF 이해하기  (0) 2019.01.15
Kodex ETF  (0) 2019.01.15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https://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4258124&memberNo=5010025&vType=VERTICAL


요약하자면 국내주식형 ETF등은 특별히 신경 쓸 필요없고, 기타ETF(해외ETF.상품ETF등)은 배당소득세 원천징수

그리고 금융소득종합과세(분배금을 포함해 이자, 배당 금융소득이 2,000만원 넘을 경우 종합과세)도 신경써야 된다.


2. 기타 ETF 과표기준가

과표기준가는 종합소득세 산출 시에 적용되는 펀드의 가격입니다. 참고로 ETF의 매매 수수료는 매수 시 0.015%, 매도 시 0.015%가 지출됩니다. 그리고 모든 ETF는 매도 시 거래세는 없지만, 국내주식형ETF는 매매수익에 대하여 15.4%의 배당소득세를 부과하고, 주식형이 아닌 ETF는 과표기준 증가분과 매매수익 중 작은 값에 대하여 배당소득세를 15.4% 과세합니다.


3. 기타 ETF 배당소득세 과세

레버리지, 인버스는 기타ETF입니다

매도시 보유기간 세금이 발생하는데~ 매매차익에 15.4%는 아니구요 ~

매매차익과, 과표증분중 작은 금액에 대해 15.4% 배당소득세를 과세합니다.


국내주식형ETF는

국내지수형이라고 되어있는 것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장대표지수 - kodex200, kosef200, tiger krx100등등,

섹터지수 - kodex 반도체, kodex 은행, kodex 자동차 등등

테마지수 - kodex삼성그룹, kosef 고배당 등등

스타일지수 - trex 중소형가치, kosef 블루칩 등등


이외의 ETF는 모두 기타ETF로 (해외지수ETF, 상품ETF, 채권ETF, 레버리지/인버스 ETF, KINDEX중국본토CSI 등)이 있습니다.


거래중인 증권사 HTS에서 배당소득세 부과대상인지 확인하실 수 있는 화면이 있을꺼라서 확인 하시면 되겠습니다.


4. 종합소득과세 신고


기타ETF에 대해 과세는~ 매매차익과 과표증가분 둘중 작은금액에 대해 배당소득세로 15.4%과세

하고 종합과세 대상소득에 포함 합니다.


현금분배금 지급 이 있는 경우에도 분배금에 대해 배당소득세로 15.4% 과세하고 종합과세 대상소득에

포함시킵니다.


위의 배당소득과, 다른 종합과세대상의 이자와 배당소득을 합산 해서 2천만원이 초과될경우,

금융소득종합과세 신고대상이 됩니다.


4. ETF매매손익과 종합소득과세 얼마나 내야 하는가?

https://kin.naver.com/qna/detail.nhn?d1id=4&dirId=40102&docId=318570027&qb=ZXRmIOyihe2VqeyGjOuTneqzvOyEuCDsi6Dqs6A=&enc=utf8&section=kin&rank=3&search_sort=0&spq=0&pid=UZSIvlpVuENssbkyQKlssssst68-187347&sid=jzKF8gKng5%2BcgWp//iFeYA%3D%3D


한국의 세법은 손실에 대한 공제는 하지않고, 수익만 기준으로 과세를 합니다. 그러므로 수익 2,000만원이 넘으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므로 매년 5월에 실시하는 종합소득세를 신고해야 합니다. 그런데 개인의 경우 1차로 15.4%의 세금이 지출되었기 때문에, 이자소득과 합산한 금액이 7천만 원 미만이면 종합소득세 신고는 하지만 종합소득세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투자분석/테마2019. 1. 18. 08:17
Posted by 데이빗라이언
Posted by 데이빗라이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