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봉은 주가가 시초가 대비 상승 마감하였다는 뜻입니다. 여기서 시초가란 주가가 당일 시작하는 가격을 의미하며 시초가를 전일 종가인 기준가와 혼동하는 분들이 많은데 시초가란 오전 동시호가에 접수된 가격으로 9시에 시작되는 가격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동시호가란 장이 시작하기 전 8시부터 9시까지의 오전 동시호가와 2시50분부터 3시 사이에 오후 동시호가가 있는데 이 시간에 매수, 매도 주문을 접수 받아 9시와 3시에 일괄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따라서 동시호가에 매수가 몰리면 10%이상 상승 출발 할 수 있으며 15%의 상한가로 출발하는 종목도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시초가가 높게 형성될 경우 종가가 어제보다 높게 마감하더라도 양봉이 아닌 음봉이 만들어질 수 있으니 양봉과 음봉의 판단은 항상 시초가와 종가를 기준으로 한다는 점을 기억하여야 합니다.
위의 그림은 시초가보다 종가가 높아야 하며 장중 1, 2, 3 어떤 흐름인지 알 수 없지만 종가가 시초가보다 위로 마감하여 양봉이 형성된 모습입니다. 또한 시초가보다 장중 하락하여 아래 꼬리를 만들었으며 종가보다 상승한 후 하락하여 위 꼬리도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꼬리를 다는 것은 장중 최고와 최저점을 표시해주는 것이며 종가가 최고점일 경우 위 꼬리가 없으며 최저점일 경우는 아래꼬리가 없이 만들어집니다.
음봉의 경우 양봉과 반대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초가보다 종가가 낮을 경우 음봉이 말생하며 하한가 종목은 대부분 음봉으로 형성이 되고 하한가라는 뜻은 종가가 최저가이므로 아래꼬리가 없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1.도지형 캔들이란?
도지형 캔들은 십자가 모양이라고도 하며 시초가와 종가가 일치할 때 발생하는 캔들의 유형입니다. 이러한 도지형 캔들은 추세
전환의 신호로 판단되어 다음날 나타나는 봉을 확인하여 바닥권이라면 상승추세로 상승권에서는 하락추세의 신호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①긴 십자형 도지
긴 십자형 도지는 위, 아래의 길이가 긴 도지를 뜻하며 장 중 큰폭의 등락이 있었음을 알 수 있는 모습의 형태입니다. 일반적으
로 도지보다 추세전환의 신호가 높다고 판단되며 매수와 매도세력 모두 확신을 갖지 못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②잠자리형 도지
잠자리형 도지는 시초가와 종가가 당일 고가와 일치하는 경우에 발생하며 바닥권에서 출현한다면 상승전환의 신호로 판단
할 수 있으며 상승권에서 출현하더라도 추가상승의 가능성이 높은 캔들의 유형입니다.
증시 속설 중에 잠자리형 도지는 무조건 매수한다는 말이 있듯이 이러한 캔들이 나오는 경우 상승의 흐름으로 이어질 가능
성이 높습니다.
③비석형 도지
비석형 도지는 매수세력을 매도세력이 강하게 압도해버린 상황을 나타내고 있으며 잠자리 형과 정반대의 흐름을 보이고 비
석형, 피뢰침형 등으로 불리우고 있습니다.
이러한 캔들은 강력한 매도신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상승권에서는 매도, 바닥권에서는 거래량에 따라서 매수로도 해석될 수
있으나 일단 시초가와 종가가 최저가라는 것은 굳이 매수로 접근할 이유가 없는 캔들이니 매매시 유의하기 바랍니다
■ 주식시장에서의 갭(GAP)의 의미
갭이란 사전적 의미로 어떤 틈이나 간격, 격차를 뜻하는 것으로 주식시장에서 많이 사용하는 용어 중 하나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갭의 의미는 시세가 갑자기 폭등 혹은 폭락할 때 나타나는 차트상의 빈 공간을 의미합니다.
돌발적인 악재나 뜻하지 않은 호재로 전날의 종가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거나 상승할 때 발생하며 투자자에게 유용한 정보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시세는 전날의 가격과 비슷한 가격으로 시작하는 것이 보통이나 이런 갭이 발생할 경우 매수와 매도의 균형이 깨진 것을 의미하며 전날 종가보다 높게 시작하면 "갭 상승하였다" 라고 말하며 전날 종가보다 낮게 시작하면 "갭 하락하였다"라고 합니다.
흔히 상승 갭, 하락 갭이라고 부르며 상승 갭이란 시가가 전날 일봉의 고가보다 높게 시작한 다음날 종가까지 그 갭을 메우지 못한 것을 말하고, 하락 갭이란 시가가 전날 일봉의 저가보다 낮게 시작한 다음 그날 종가까지 그 갭을 메우지 못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와 같은 상승 갭과 하락 갭은 전날 일봉과의 사이에 갭을 만들어 일봉 차트에서 두 개의 일봉 사이의 간격이 뜨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아침 시가에 갭 상승하더라도 장중에 전날 일봉의 고가까지 밀리면 전날 일봉과의 갭을 메운 것이므로 상승 갭이 아니고, 시가에 갭 하락하더라도 장중에 전날 저가까지 반등하면 전날 일봉과의 갭을 메운 것이므로 하락 갭이 아닙니다.
위의 그림은 과거 코스피차트이며 갭으로 하락하는 급락을 보이고 있습니다. 8월 10일 갭 상승 후 다시 하락하며 갭이 생성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며 그 다음 날은 반대로 갭 하락 이후 큰 폭의 되돌림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8월 12일도 차트상 갭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으나 음봉마감하며 갭이라 부를 수 없는 캔들이 생성되었고 시간이 지난 후 8월 19일 다시 한번 갭 하락 하였으나 추후에 이 갭은 메워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갭이란 시세보다 과도하게 움직여서 생기는 경우가 많으며 이 경우 "갭은 메우라고 있는 것이다"라는 증시의 격언처럼 되돌림이 나올 수 있기 때문에 갭이 발생한 이후 되돌림을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갭의 종류에는 보통갭, 돌파갭, 급진갭, 소멸갭, 아일랜드갭 등이 있습니다.
①보통갭
일반적으로 횡보상태에서 발생하는 형태로 상승 갭이 나타나도 신고가가 아니며 하락 갭이 나타나도 신저가가 아닌 경우이
다. 가장 자주 발생하는 갭의 형태로 곧 다시 매워지는 특징 있다. 그리고 거래량도 보통갭이 나타날 때 일시적으로 증가하
나 다음날 바로 평균적인 거래량 수준으로 회복하게 된다.
②돌파갭
돌파갭은 그림처럼 박스권을 돌파할 때 갭 상승하여 시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패턴은 갭 상승과 들에게 신고가 혹은
신저가를 보이게 되는데 이때 새로운 추세의 초기국면일 경우가 많다.
즉 기존의 추세를 벗어나 새로운 국면으로 진입한다는 신호이며 이 때 주의할 점은 갭으로 돌파한 이후 다시 돌파갭이 메워
졌다면 보통갭처럼 큰 추세 없이 진행 될 수 있으므로 갭이 메워지지 않아야 확실한 신호로 볼 수 있습니다.
③급진갭
돌파가 진행된 이후 시세가 급상승하며 두 번째 갭이 발생한 이후 신고가가 나타나면서 추세진행을 가속화 할 떄 나타나는
갭을 급진갭이라 부른다. 급진갭의 발생은 추세가 점점 강화되고 있는 신호이다. 이러한 급진갭은 메워지지 않는 경우가 대
부분이며 추후에 지지와 저항의 역할을 하곤 한다.
④소멸갭
소멸갭은 추세의 마지막 단계에서 대량거래를 동반하면서 갭 상승한 후 이 갭을 단기간에 메우면서 발생한다. 갭이 메워져
야 할인할 수 있으므로 시세가 하락할 때 갭을 메우는 소멸갭이 만들어진다면 시세전환의 신호로 해석이 된다.
⑤아일랜드갭
아일랜드갭이란 섬 꼴 반전 이라고도 부르며 시세가 외딴 섬처럼 중간에 떠 있는 형태를 보이는데 강력한 반전 신호중에 하
나입니다.
이처럼 아일랜드갭은 자주 나오는 형태는 아니지만 강력한 추세전환의 신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